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발도르프 교육이란?(개념, 특징)

by 신박에듀 2020. 11.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발도르프 교육은 인지학(人智學, anthroposophy)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탄생하였습니다. 인지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정신세계를 탐구하며 자연과학에 상치하는 개념이 아닌, 자연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보완하는 정신과학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인지학이라는 단어는 희랍어로 ‘인간’을 뜻하는 anthropos와 ‘지혜’를 뜻하는 sophia가 합쳐진 말로, 슈타이너의 인지학은 인식론, 우주론, 인간론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체계입니다. 인지학적 인식론은 인지학이라는 거대 체계의 뿌리이고 우주론과 인간론은 그 뿌리에서 뻗어 나온 가지이며 ‘발도르프 교육’과 ‘발도르프 학교’는 그 열매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발도르프 교육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도르프 교육의 배경

 

  1919년 독일 남부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한 발도르프·아스토리아(Waldorf Astoria) 담배 공장의 공장주였던 에밀 몰트(Emil molt)는 공장 노동자 자녀 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발도르프라는 공장의 이름을 따와 자유 발도르프(Freie Waldorfschule)라는 명칭으로 개교하게 되었고, 이것이 발도르프 교육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김성원, 2005).

  1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의 경제적 파탄과 정치적인 분열, 사회 붕괴 속에서 출발한 발도르프 교육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인지학자이자 교육자인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사상을 바탕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초등학교와 중⸳ 고등학교가 통합된 형태’였으며, 유치원에서부터 12학년까지 학생들을 위해 개발된 종합 학교로서 발도르프 학교는 출신과 재능에 관계없이 모두가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부여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Johannes, 1997/2004).

  100년의 역사를 담아 온 발도르프 교육은 독일 대안 교육으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하나의 교육 체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199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44차 세계교육장관회의에서 ‘21세기 교육 혁신의 모델’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발도르프의 인지학과 인식론에 영향을 받은 수많은 운동들이 생겨나기도 하였습니다. 정신과학으로 확장된 의학이나 치료 오이리트미(eurythmy), 치유 교육학은 전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행해지고 있습니다(Marielle & Ursula, 1996/2001).

 

 

2. 발도르프 교육의 개념

 

  슈타이너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토대를 둔 교육, 연령에 적합한 교육의 선구자였습니다. 슈타이너는 ‘온전한 아동’을 위해 균형 잡힌 교육을 계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아동의 사고, 의지와 감정, 아동의 영적인 본성을 인정하고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발도르프 교육의 기본 가치와 목표는 동일하나 그 방법과 적용은 아동의 내적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왔습니다(Barbara & Bradley 2000/2007).

  발도르프 유아 교육의 목표는 인간의 본성을 바탕으로 한 인간학에 따라 유아의 본성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즉,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학습하는 존재라고 정의하고 유아교육과정을 설계합니다.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교수 학습방법은 놀이를 통한 통합적 접근입니다. 교수매체는 자연물이며 친환경적인 재료와 색상, 질을 고려하여 마련된 교구와 놀잇감입니다. 이를 실내·외에 제공 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개별성, 사회성이 발달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습니다. 발도르프 유아 교육의 교육과정은 리듬 생활을 통해 실천되는데 하루의 리듬, 주간 리듬, 월간 리듬, 연간 리듬을 통해 계절의 흐름의 변화와 명절과 같은 잔치의 의미를 내면화하여 유아 자신의 생활로 만들어 가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일상의 반복적인 리듬을 통해 만들어지는 습관과 호흡은 생활에 안정감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리듬 생활은 들숨과 날숨이 반복되는 것으로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것을 행하는 발도르프 유아 기관의 교육과정인 것입니다(서남숙, 2014)

 

 

 

 

 

3. 발도르프 교육의 특징

 

  슈타이너는 유아의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육방법론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유아의 본성을 잘 파악하고 서술하는 일, 즉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로부터 유아 교육을 위한 관점들이 자연스럽게 도출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Steiner, 2001). 슈타이너는 인지학적 인간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발달 단계를 크게 세 단계로 나누고 그 기간을 7년 주기의 리듬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발달의 첫 번째 주기인 탄생부터 7세 이전의 유아기는 균형 잡힌 신체 발달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시기이며, 몸의 발달을 기반으로 의지가 발달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유아의 본성을 잘 발현시키고자 인위 적인 교육적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주기인 8-14세의 아동 기에 이르면 기억력이 성장하게 됩니다. 또한 이 시기는 감정이 발달하는 시기로 감정을 고양시키고 상상력이 고려된 예술적 접근의 교육이 중요합니다(최숙연, 2009). 세 번째 주기인 15-21세 사춘기가 시작되며 사고의 발달, 판단력, 이해력이 발달하며 이성적 사고를 하게 됩니다. 첫 번째 두 번째 7년 주기 단계에서 배운 지식과 자극을 통해 7세까지의 유아는 모든 성장이 신체에 집중되어야만 건강한 성장이 가능한 것입니다(박완민, 2018)

  슈타이너는 첫 번째 7년 기의 유아는 완전한 감각적 존재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유아기는 자기가 인지한 것을 아직 성찰할 수 없는 시기로 유아의 모든 감각적 체험은 내장 기관 형성과 영혼적, 육체적 리듬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감각을 통해 받은 모든 인상들은 유아에게 받아들여지고 모방됩니다 (Marielle & Ursula, 1996/2001). 그렇기 때문에 0-7세 사이의 유아기에는 신체적·감각적 경험이 극대화 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사와 부모, 주변의 어른들 스스로가 모범적인 유아 모방의 대상자가 되어야 합니다. 발도르프 교육의 모방은 유아기 때 세상의 사물을 인지하는 기본적인 교육원리로 활용되고, 온 몸의 모든 감각기관을 활용하며 더욱 발달하게 됩니다. 유아는 모방을 통해 성인과 내적인 상호작용을 이루고, 내면화를 통해 유아 자신만의 행동들을 만들어 나가게 됩니다(강인구, 2009b).

 

 

※ 참고문헌: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놀이문화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문화 기술지 연구(신선순,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