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아트 프로펠(Art PROPEL) 학습법이란?(개념, 유형, 절차)

by 신박에듀 2020. 11.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아트 프로펠(Art PROPEL)은 개발 초기 학생의 예술 관련 학습에 대한 평가 방안으로서 고안된 방법으로 현재는 예술교과의 지도에 적합한 구성을 갖추고 있는 학습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트 프로펠 학습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트 프로펠 학습법의 이론적 배경

 

  아트 프로펠 학습법은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이끄는 하버드 프로 젝트 제로(Harvard Project Zero) 팀의 연구 성과이자,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의 일원이었던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하여, 예술교과에 대한 고전적 접근이 아닌 체계적․능동적 학습을 이룰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트 프로펠 학습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전적 지능 이론과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팀의 연구 방향을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지능에 관련한 초기관점은 19세기 골상학을 기초로 한 두뇌의 특정 부분과 지적 능력의 연관, 심리학의 발전 등을 통한 통계적 방법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이후 20세기 초 프랑스의 심리학자인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는 인간의 지능을 판단할 수 있는 IQ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습니다. ‘지능지수 검사’라 불리는 IQ 측정도구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객관적 수치로 나타내 학생의 성적을 예측하고, 진지한 독서, 계산, 사고력 등을 요하는 과목에 대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단, 이러한 측정 시스템은 지능에 관한 1차원적인 접근으로, 심리학자인 스피어만(Charles Spearman)은 IQ수치가 개인차에 대한 논의만을 다루고 있으며, 반응시간 및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분할 수 없다고 비판하였습니다. 또한 길포드(James Guilford)와 스탠버그(Robert Sternberg) 등은 IQ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지적 영역의 범위가 협소하다는 문제점을 제기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기존의 일반이론들이 지능을 심리측정학적 개념에 근거한 생물학적 관점에서만 이해하려 한다는 점을 비판하였습니다. 또한 지능이 문제 해결 또는 특정한 문화적 상황에서 비롯된 결과이며,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능력으로 보아 인간의 지적 능력을 아홉 가지로 재 설정한 다중지능 이론을 주장하였습니다.

  다중지능이론에서는 모든 인간이 가진 상대적인 아홉 가지 지능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되며, 그에 따른 능력과 성향에 차이가 있음을 주장합니다. 또한 IQ 측정을 통해 지능을 단일한 척도로 바라보는 관점, 선다형 또는 단답형과 같은 표준화된 필답고사에 의해 학생의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거부합니다.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팀은 다중지능 이론의 이러한 관점을 받아들여 이론의 기초를 이루게 됩니다.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철학자인 넬슨 굿맨 (Nelson Goodman)에 의해 설립된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연구 집단입니다. 이들은 학교와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적 지식과 기술 등의 이해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은 예술교육에서 창작, 예술적 지각 및 성찰 능력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나, 당시 예술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주로 다루지 않았습니다. 이에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팀에서는 넬슨의 주장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학생의 지능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며 지각, 창작, 성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습니다. 이후 1885년 설립된 록펠러 제단의 후원과 프로젝트 제로팀, 교육평가기관(ETS), 피츠버그 공립학교의 교사들의 연계로 5년간 연구한 결과가 아트 프로펠입니다.

 

 

2. 아트 프로펠 학습법의 정의

 

  아트 프로펠의 영문명 ‘Art PROPEL’은 연구 주제의 약자로 ‘PRO’는 창작 (Production), ‘R’은 반성(Reflection), 'PE'는 지각(Perception), ‘L’은 학습 (Learning)을 의미합니다. 즉, 아트 프로펠이란 용어는 생산, 성찰, 지각의 영역으로 구성된 연계 학습 방법을 의미합니다. 다음 그림은 아트 프로펠의 각 영역을 나타낸 자료입니다.

 

  지각 영역은 관찰과 함께 내․외적 환경에 대한 학습 동기화를 강화시키는 활동입니다. 지각은 모든 학습 과정의 전제 조건으로, 작품의 감상․비평을 통해 예술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데 용이합니다. 이 과정은 주로 비교, 창의적 사고, 감상, 경험 등에 대한 반성, 감수성, 분석 등의 탐구 기술을 자극합니다.

  생산 영역은 실제 산물을 생산하는 단계로, 지각을 통해 학생들이 습득한 개념 또는 지식을 작품 표현 과정에 활용합니다. 생산은 아트 프로펠의 주요한 구성요소로, 예술 창작에 학습자의 창의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첫째, 감정의 표현, 의사소통 및 매체 활용에 대한 독창성 개발 기회를 제공 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주어진 시간 동안 다양한 구상과 아이디어를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예술적인 작품은 선택과 진행, 자기평가를 고려한 각 단계의 발달 즉,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생산 단계의 학습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으로,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 및 효과적인 생산 활동에 기여합니다.

  성찰 영역은 반성과 평가의 과정으로, 결과의 우수함을 채점하는 것이 아닌 올바른 비평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시키는 데 초점을 둡니다. 성찰은 완성한 결과물, 제작 과정, 타인과의 상호작용, 태도 등 수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요소를 평가 대상으로 합니다. 즉, 전체적인 학습 과정을 되짚어보는 것으로, 완성작품의 가치 평가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3. 아트 프로펠 학습법의 학습자에 대한 관점

 

  아트 프로펠에서는 각 영역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관점을 중시합니다.

  첫째, 학생은 능동적인 학습자입니다. 지식은 교사가 학생에게 전달하는 단순 한 과정이 아니며, 학습자는 교사를 통해 주어진 정보와 경험을 통합해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능동적 학습의 기회를 가지며 교사는 학습 과정을 인도하는 교수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둘째, 예술작품의 창작은 영재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진보적 기법과 창의적 표현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셋째, 예술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은 지각, 생산, 성찰의 세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아트 프로펠의 과정에서 예술학습은 각 영역에 따라 수업이 진행되며, 서로 상호작용합니다.

  넷째, 창작은 아트 프로펠의 핵심적 활동이며,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교실에서는 작품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따라서 지각과 성찰 단계는 생산 과정의 활동적 관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인지․반성적인 활동의 가치 향상에 기여해야 합니다.

  다섯째, 평가 과정은 학습의 핵심 단계입니다. 최종 결과물을 기준으로 하는 일반적 미술 평가와 달리, 아트 프로펠은 완성 작품을 포함한 제작 과정 전체를 평가 대상으로 합니다. 또한 학생 작품의 가치를 보편적 점수와 등급으로 채점하는 것이 아닌 복합적인 성취 결과로 간주해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아트 프로펠에서는 이와 같이 미술적 생산 즉, 학습자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위해 지각과 성찰 단계를 함께 수행해야 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영역은 독립적 학습이 아닌 상호 유기적 연계성을 가지며, 학습자는 작품을 계획하고 수정해가는 과정 중심의 활동을 이루게 됩니다. 가드너는 이러한 학습 활동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적 수단으로 영역 프로젝트와 프로세스 폴리오를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 참고문헌: 아트 프로펠 학습법을 적용한 사군자 표현 프로그램 개발 연구(한기윤,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