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지난 시간에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는 학습법 중 하브루타 학습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근간을 두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로젝트 학습법의 배경 및 개념
근대식 공교육은 효과적으로 ‘인적 자원’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 되었습니다. 학생을 자원으로 보았기 때문에 학생의 특성이나 관심사, 장단점은 고려하지 않고 표준화된 교육을 했습니다. 현재의 모든 교육이 이렇게 진행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우리 교실에 녹아들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교육계에서는 이에 대한 반대 움직임으로 구성주의 이론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구성주의는 학생이 단순한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교육의 내용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재구성하는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구성주의 학습의 원리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성주의 학습 원리
① 지식은 주관적이고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해 나간다는 심리학 및 철학점 관점
② 학습자의 능동적 문제해결과 새로운 아이디어의 적극적 창안 강조
③ 학습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지식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
구성주의 학습 원리에 따르면 학습자는 스스로 지식을 탐구,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성주의 이론을 구현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 프로젝트 수업입니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제공하거나 행동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프로젝트나 미션을 제공하여 그것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에게 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교수 방법입니다. 학생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력과 자율성,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울 뿐만 아니라 결과물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생이 수업의 대부분을 이끌어 나가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은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거나 전체 과정을 관리⋅운영할 뿐,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주체는 학생 이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은 현대정보사회의 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자, 비판적 능력을 키우며 활용하는 학습자, 협동 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학습자로서 미래사회 역량을 기를 수 있게 됩니다.
2. 프로젝트 학습법의 특성
첫째,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게 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합니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둘째, 주도성을 가지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주체가 아닌 보조자, 운영자의 역할을 맡습니다. 주체는 학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모든 과정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주도성과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 실제성을 가집니다. 이론적으로만 다뤄지는 교과가 아닌, 실제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주제와 해결 과정을 통해 학습은 삶을 바꿀 수 있다는 인식을 제공합니다.
넷째, 평가의 주체 또한 학생입니다. 교사의 일방적인 평가가 아닌, 동료 평가, 자기 평가 등을 통해 자신의 학습 태도와 역량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과정은 더 높은 수준의 학습과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다섯째, 협동 학습입니다. 개인의 노력이 개인의 변화로 끝나는 일반 학습 과는 달리 협동 학습은 학생 개개인의 노력이 팀원 모두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합니다.
3. 프로젝트 학습법의 진행 과정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은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단계별로 준비 하기 ⟶ 도입활동 및 탐구 질문 ⟶ 탐구 및 표현하기 ⟶ 프로젝트 평가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이들 과정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순환성과 역동성을 가집니다.
<프로젝트 학습 진행 단계>
단계 |
과정 |
교육 활동 |
|
시작 |
준비하기 |
잠정적 주제 망 작성, 자원 목록 작성 |
|
도입활동 및 |
도입 활동 |
팀 구성, 역할분담, 자원 목록 작성 |
|
탐구 질문 |
소주제 결정, 관련 경험 이끌어내기 |
||
전개 |
탐구 및 표현하기 |
탐구 |
소주제 결정, 자원 확보 |
자료조사⋅분석, 실험, 면담 등 탐구 협의⋅토의 |
|||
표현 |
활동 결과물 제작 |
||
마무리 |
프로젝트 평가 |
전시 및 발표 |
|
반성, 피드 백 |
1) 프로젝트 준비하기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교사가 프로젝트 학습을 하기로 결정하고 주제와 그와 연관된 내용을 설정⋅준비하는 활동을 합니다. 프로젝트 학습법의 진행 과정에서 교사는 역할이 축소되지만 그만큼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2) 도입 및 탐구 질문
도입 및 탐구 질문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초기에 학습자들이 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팀을 만들고 팀원의 역할을 분담하는 등의 도입 활동을 진행합니다. 또한 학습자의 생활 속에서 학습 주제와의 연관성을 찾는 등의 흥미 유발 활동과 소주제를 논의하며 프로젝트를 구체화시켜나가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3) 탐구 및 표현하기
탐구 및 표현하기 단계에서는 진행할 프로젝트의 소주제를 결정하고 진행에 도움이 되는 자원을 확보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며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 탐구 및 표현하기에서 탐구하기, 협의하기, 표현하기 활동은 서로 연관성을 지니고 상호작용하며 프로젝트를 이끌어 나갑니다.
4) 프로젝트 평가
프로젝트를 마무리⋅평가하는 단계에서는 탐구하기, 협의하기, 표현하기 활동의 결과를 구성물, 멀티미디어 자료, 문집, 그림 등의 형식으로 제작하고 이를 교사, 동료, 지역 사회 인사들에게 전시, 발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알리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동료 평가와 교사 평가로 나누어 진행하여 학습의 성과를 조사합니다. 평가에는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두 가지가 있으며 형성 평가는 프로젝트의 전 과정이 전체 목표와 요소별 활동 목표의 달성을 이루는가를 조사하고 검토하여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4. 프로젝트 학습법에서 교사의 역할
프로젝트 학습법에서 교사의 역할은 각 단계별 과정이나 각 학습자의 개별적인 성숙도, 특성, 지식의 수준에 따라 활동을 이끌어 주고 적절한 비계를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존 강의식 수업보다 넓은 전문적 지식과 많은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 의 발전 과정에 자신이 준비하고 예상한 결과와 학생의 주도적인 활동을 조화시키며 학생의 발전을 도와야 합니다. 예를 들면 과제의 주제나 활동의 시간과 장소, 사용될 도구 등은 미리 계획해 두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자료를 가지고 어떤 활동을 할 것인지는 학생의 의견에 따라 진행하며 그에 맞는 조언과 도움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참고문헌: 프로젝트 학습법을 적용한 패키지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정나은, 2019)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트 프로펠(Art PROPEL) 학습법이란?(개념, 유형, 절차) (2) | 2020.11.08 |
---|---|
섀도잉(Shadowing) 학습법이란?(개념, 유형, 장점) (0) | 2020.11.07 |
자기조절학습이란?(개념, 특성, 효과) (0) | 2020.11.05 |
하브루타 학습법(개념, 수업기법) (4) | 2020.11.04 |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SDLMI)이란?(개념, 구조, 효과)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