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교육의 트렌드가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고, 그들의 교육적 선택권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자기 조절 학습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기 조절 학습의 개념, 특성 및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은 일반적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정 및 전략, 학습자원을 결정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일련의 학습과정으로 정의됩니다. 자기 조절 학습이라는 용어는 오늘날 교육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지만, 자기 조절 학습의 정의는 연구자들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습니다.
자기조절학습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자기 주도 학습(self-directed laerning), 자기 계획 학습(self-planned learning), 독립 학습(independent stucy), 자기 교수(self-teaching), 개별학습(indivisual learning), 탐구학습(inquiry learning), 자율학습(autonomous learning), 자기 교육(self education) 등이 있습니다(박성희, 주영주, 봉미미, 2007; 허남진, 2004). 이처럼 자기 조절 학습에 대해서 연구자 들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개념들은 학습자의 능동성을 전제로 하는 학습의 유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2. 자기조절학습의 특성
Pintrichi(2000)는 자기 조절 학습에 대한 모든 이론들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특성들이 있다고 하였는데, 학습자가 학습의 과정에서 능동적인 참여자라는 점, 스스로 의미, 목표, 전략을 구성한다는 점, 목표를 설정하면서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을 점검하고 통제하며 조절한다는 점 등입니다.
구체적으로, Knowles(1975)와 Long(1992)은 자기 조절 학습의 개념을 학습자가 학습 상황에서 자기 스스로 또는 학습조력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고 관리하며 이루어지는 학습이라 정의하였습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은자기 조절 학습은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에 초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습환경을 유리하게 선택·구성하여 학습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Zimmerman & Schunk, 1989). 다시 말해, 자기 조절 학습은 학습자가 자기 조절 학습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점검하고 조절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학습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 조절 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스로 자신의 사고와 감정, 그리고 행동을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개별 학습자가 학습과제를 위하여 적극적이고 목표 지향적으로 인지와 동기,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상 공간을 기반으로 한 이러닝은 진정한 의미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자의 학습의 접근 기회를 확대시켜줍니다. 이러닝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에 기반하는 교수·학습 체제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이러닝은 문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하여, 비교적 쉽고 빠르게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대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 구성 과정에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 자발성과 능동성을 통하여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시키고, 여러 분야에 관련된 학습내용을 다룰 수 있는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3. 자기조절학습의 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 실재감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Zimemrman(1998)는 자기 조절 기능이 높은 학습자는 낮은 학습자에 비해 통제가 잘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따라서 자기 조절을 잘하는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전략의 활용이 높은 학업성과에 기여합니다(주영주, 이소영, 홍유나, 2011). Pintrich와 De Groot(1990)의 연구는 자기 조절 학습의 인지 조절 요인들과 실제적인 학업성취 간 높은 상관이 있음을 밝혔습니다. 학습자들이 시연, 정교화, 조직화의 인지 전략을 통해 학습 자료를 기억하고, 조직, 변형하려고 노력할 때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훨씬 높은 성취를 보였습니다(임종훈, 2012; 정애경, 2008).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 실재감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규명한 연구들은 부족하지만, 이상의 선행 연구에서 자기 조절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어, 자기 조절 학습능력과 학습 실재감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 조절 학습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최문정, 2014)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섀도잉(Shadowing) 학습법이란?(개념, 유형, 장점) (0) | 2020.11.07 |
---|---|
프로젝트 학습법이란?(개념, 특성, 절차) (0) | 2020.11.06 |
하브루타 학습법(개념, 수업기법) (4) | 2020.11.04 |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SDLMI)이란?(개념, 구조, 효과) (0) | 2020.11.03 |
문제중심학습(PBL)이란?(개념, 특징, 효과)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