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이하 PBL)은 1970년대 중반 의과 대학 교육의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시작된 교수·학습 모형입니다. 현재는 많은 일선 교육 장면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이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
Barrows(1985)는 의과대학 학생들이 오랜 기간 동안 고된 교육을 받았음에도 병원에서 환자들을 진단하는 실제 상황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기존 의과대학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강의자 중심의 전통적인 교수법에서 벗어나 동료들 간의 협동과정을 통하여 실제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학습자 스스로 찾아 나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PBL을 제안하였습니다. PBL은 의과대학 교육에서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의학 관련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인문, 경영, 교육, 과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이란 ‘학습자들이 현실에서 접할 수 있는 복잡하고 비정형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동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협동 학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해 가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입니다.
2. 문제중심학습(PBL)의 특징
1)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된다.
PBL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로부터 학습이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PBL에서 사용되는 문제는 일반적인 교재에서 사용되는 해답이 정해져 있는 정형화된 문제가 아니라 현실에서 접할 수 있는 복잡하고 비정형화된 문제이며 학습자들이 협동하여 다양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학습자들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동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협동 학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해 가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ㆍ학습 방법입니다.
PBL에서 사용하는 문제는
ⓛ비구조화된 문제이어야 하며,
②복잡성이 있어야 합니다.
학습자들이 실세계에서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문제가 복잡성을 지니듯이 PBL에서의 문제도 복잡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의미 있는 협동학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③ 또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제적인 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단순히 실제적인 문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④학습자들의 상황과 관련성이 있어야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즉, PBL에서 사용하는 문제는 비구조화된 문제, 복잡성이 있는 문제, 실제적인 문제, 관련성이 있는 문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2) 학습자는 학습의 주체로서 참여자, 주도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PBL이 전통적 교수법과 가장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입니다. 전통적 교수법에서는 교수자가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자는 교수자의 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PBL 과정 속에서 교수자는 직접적으로 수업 내용이나 지식을 전달하지 않고 학습자들이 스스로 찾아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촉진자, 안내자, 학습 진행자, 코치, 튜터의 역할을 하게 되며 학습자는 학습의 주체로서 참여자, 주도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한편 PBL은 전통적 교수 방법과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무엇보다 전통적 교수 방법에서의 교수자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학습자는 수동적으로 강의를 듣는 역할을 하였는데, PBL에서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교수자는 직접적으로 설명하거나 제시하지 않고 학습자를 독려하여 학습자들 스스로 해결 방안을 찾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기술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외에 다른 역할이 하나 있는데 이는 평가자로서의 역할입니다. 이전에는 교수자가 주된 평가자였다면 PBL에서는 교수자뿐만 아니라 학습자도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교수자는 지식 전달자의 역할이 아니라 촉진자의 역할을 하게 되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진행됩니다. 또한 평가는 학습 결과물뿐만 아니라 단계별 활동 결과물과 학습자들의 참여도 등을 확인하여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환경이다.
전통적 교수법에서의 교수 학습 환경과 PBL 교실에서의 교수·학습 환경의 차이는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전통적 교실에서는 교수자 한 명이 지식을 전달하고 다수의 학습자가 지식을 전달받았다면 PBL 교실에서는 대부분의 활동이 개별 활동보다는 조별 협력 학습의 형태를 합니다. 교실 밖에서는 개별 활동을 하고 개별 활동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교실에서는 조별 협력 활동이 주를 이루게 됩니다. 교수자는 앞에서 서술하였듯이 조력자, 촉진자의 역할을 하며 수업에서는 한 걸음 뒤로 나아가 있는 형태를 보입니다. 하지만 교수자는 조별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든 조원들이 조별 활동에 잘 참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때는 해결하여 조별 활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조별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3.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육적 효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수많은 다양한 문제들을 접하게 됩니다. 이러한 주어진 문제가 무엇인지 문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정보와 지식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찾은 정보와 지식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문제 해결안을 찾는 것을 문제 해결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가는 전반적인 과정은 학습자 주도하에 스스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즉, 문제 해결 능력이란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기존 지식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하여 해결 방안을 찾아내어 실제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문제중심학습은 단기 기억보다는 장기 기억에, 단순하고 사실적인 정보보다는 고차원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과제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습자들은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하여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능력 등의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됩니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지식의 습득, 전이와 활용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문제로부터 학습이 시작되는 PBL에서 학습자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필요한 새로운 학습 내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결정했기 때문에 주체적으로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고 습득한 정보와 지식에 대한 기억을 더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은 협동 학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식이 다양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사회에서는 더 복잡한 문세 상황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혼자가 아닌 타인과 협동해야 할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습니다. 협동하는 능력에는 대인관계 기술, 사회적 기술, 의사소통 기술 등과 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타인과 정보, 기술, 지식,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상이나 타협 또는 토론을 위한 의사소통을 하는 등의 경험을 통하여 배울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문제중심학습에서 단계별 협동 활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활동입니다. 단계별 조별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협동 학습 능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됩니다.
넷째, 문제중심학습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교수법에서는 학습자가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정보를 강의나 교재 등을 통해서 전달하는 데에 집중하였습니다. 하지만 문제중심학습은 이와 달리 무엇을 알아야 할지, 어떻게 알아낼 것인지 등의 모든 것을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진행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입니다.
다섯째,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들은 실생활에서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을 법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단계를 가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기반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김현주, 2018)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브루타 학습법(개념, 수업기법) (4) | 2020.11.04 |
---|---|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SDLMI)이란?(개념, 구조, 효과) (0) | 2020.11.03 |
학교컨설팅이란?(개념 및 특징) (0) | 2020.10.27 |
스터플빔의 CIPP 모형(개념 및 절차) (3) | 2020.10.26 |
교과서 삽화 이해하기(정의와 기능) (0) | 2020.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