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교육운영 특색사업의 첫 번째 유형인 교과교실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학생 개개인의 교육 수준 이해도에 기반하여 차별화 된 교수학습을 진행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미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한 ‘제 7차 수준별 교육 과정의 이해와 적용’에 따르면, 좁은 의미에서 교육과정이란 ‘교과내용’을 의미하며, 이를 학교교육과 관련된 상태에서 정의하면 “학생들이 배워야 할 교과내용을 일정한 시간 단위 별로 조직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협의의 교육과정의 정의에 의한 수준별 교육과정이란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서 배워야 할 수업내용이 학생들의 능력 수준별로 개발된 상태의 교육과정”을 의미하고, 광의의 교육과정은 교육내용, 목적, 방법, 자료, 평가, 교수 등의 요인들을 모두 포함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준별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차별화, 다양화를 꾀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자주적 생활능력과 평생학습의 태세를 갖춘 유능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수준별 이동 수업을 위한 학급 편성 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변인요소로서는 보통 성적으로 대변되는 학습 능력, 학습 흥미, 학습 양식 등이 있고, 이러한 변인들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떻게 고려하여 수업을 전개하느냐에 따라 수준별 수업의 형태 또한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은 보통 학습 집단의 구성방법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학급 단위의 능력별 집단을 구성하는가, 학급 내에서 능력별 소그룹을 편성하는가. 혹은 능력별 집단 구성이 아닌 이질적 집단 구성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는가에 따라 그 유형이 달라집니다. 한국 교육개발원은 영어교과에서 능력별 학습 편성의 방법을 다음의 3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첫째는 동일 학년 내 유사 능력의 학습자끼리 묶어서 학급을 편성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무학년제 개면에 의해 학년을 구분하지 않고 유사 능력의 학습자끼리 학급을 편성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학년제를 근간으로 하면서 무학년제를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것인데, 동학년의 학습자 중에서 능력이 매우 우수하거나 떨어지는 학습자 소수를 다른 학년에서 학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3. 수준별 교육과정과 학업성취도
수준별 이동수업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생의 학업능력 등 학생 집단 특성에 따라 상반된 연구결과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제시되고 있습니다. 예컨대, 수준별 이동수업과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 관계를 보고한 홍순상과 이덕호(2015)는 한국 교육 종단연구 2005의 6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의 수준별 수업이 수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경향 점수 매칭 방법을 적용한 분석 결과, 수학 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황여정(2008)은 한국 교육 고용패널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수업이 수학능력시험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수준별 수업이 남학생의 수학 성적에는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다른 교과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성적수준 집단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연구들이 있습니다. 예컨대, PISA 2009 자료를 활용한 김대석과 조호제(2013)의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의 긍정적 효과가 중간 수준 집단에서는 나타났으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와는 달리, 이재돈과 김호중(2006)의 연구에서는 하위 수준 집단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자료를 활용한 김소영(2011), 양정호(2006) 등의 연구는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즉, 김소영(2011)은 한국 교육 종단연구 2005의 3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3학년의 수학, 영어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영향력을 다층 모형으로 탐색했지만, 수학, 영어교과 모두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였습니다. 한편, 한국 교육 종단연구 2005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수업 지속기간의 효과를 탐색한 김희란, 이수정과 김혜영(2015)은 수준별 수업의 지속기간이 길수록 영어교과에서는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수학 교과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습니다.
※ 참고문헌: 수준별 영어 이동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의 영어 성취도, 흥미도, 자신감의 변화(홍은화, 김경자, 2014)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 잠재계층 분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오영교, 차성현, 2018)
'교육이론 >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너(Pinar)의 재개념화 교육과정 (0) | 2021.02.12 |
---|---|
2015 개정교육과정: 창의·융합형 인재 알아보기 (0) | 2021.01.13 |
나선형 교육과정(의미, 특징, 단점) (0) | 2020.05.11 |
백워드 설계모형(백워드 교육과정) (4) | 2020.05.02 |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