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요구분석의 개념과 방법

by 신박에듀 2020. 6.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어떠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체험을 한 뒤에 종종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설문조사는 다음 회차의 프로그램 기획이나 제품 개선에 반영되어 더 나은 질의 아웃풋을 기대하게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요구분석' 절차가 필수적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교육 장면에서도 종종 진행되는 요구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요구와 요구분석의 개념

 

  요구분석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요구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편적으로 요구(Needs)는 바람직한 상태(What should be)와 현재 상태(What it is)의 격차를 의미합니다. 즉 요구란 바람직한 상태에서 현재 상태를 뺀 상태를 뜻합니다. 

 

요구 = 바람직한 상태 - 현재 상태

 

  요구분석에서 ‘요구’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그 의미가 불분명한 경우가 다수 발생합니다. 요구는 명사로 사용될 때와 동사로 사용될 때 의미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먼저 명사로서의 요구는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 상태 또는 미래 상태와 현재 상태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요구는 차이를 의미할 뿐, 현재형 혹은 미래형에 해당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즉, 요구는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을 바람직한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명사로서의 요구와 달리 동사로서의 요구는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 상태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해결책이나 수단을 의미합니다.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 두 가지 요구의 의미를 혼동하여 사용하나, 요구분석은 수단보다는 얻고자 하는 목적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구분석에서 ‘요구’의 의미는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 상태와의 격차에 초점을 둔 명사적 요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구분석(needs analysis)은 요구 사정(needs assessment), 격차 분석(Discrepancy analysis)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일컫어지는 것은 물론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 내리고 있습니다. Mckillip(1987)는 요구분석을 요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자원을 배치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라 보았습니다. 요구분석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실시되고, 정해진 절차 및 방법에 따라 일련의 단계를 통해 진행한다는 측면에서 체계적인 접근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요구분석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의 종류 및 분석의 범위는 달라집니다. 요구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해결책의 기준을 결정하고, 또한 자원을 적절히 배분할 수 있습니다.
  Rossett(1987)은 문제의 발생 시점과 관계없이 불확실한 문제를 밝혀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활동을 요구분석이라 정의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학자들의 정의를 토대로 요구분석이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법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요구분석의 방법

 

  요구분석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타당성을 미리 검증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의사결정을 타당성 있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요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수집이 중요합니다. 자료수집의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Witkin & Altschuld(1995)에 따르면 요구분석의 자료수집 방법에는 현존 자료 및 의사소통을 통한 방법, 분석적 과정을 통한 방법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최정임(2002)은 현존자료 분석, 면담, 관찰, 그룹회의, 설문조사, 결정적 사태 분석을 자료분석 방법으로 보았으며, 이화정, 양병찬, 변종임(2003)은 질문지법, 면접법, 관찰법, 델파이, 비형식적 대화, 테스트, 대중매체와 전문 문헌 검토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자료수집 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 현존 자료 분석은 기존에 존재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주로 고용인들의 직무수행의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면담은 자료수집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으로 직접 관련자를 찾아가 대화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 면담을 통해 질적으로 깊이 있는 자료의 수집이 가능하나, 면담 준비 및 자료 분석이 어려우며 조사자의 편견이 삽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찰은 실제로 직무환경이나 장소를 방문하여 직무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관찰은 현존 자료 분석이나 의견 분석을 통해 얻은 간접적인 자료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유용한 초기 분석의 도구입니다. 하지만, 숙련된 관찰자가 필요하고 대상자가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룹 회의는 다수의 사람들과 회의를 함으로써 정보 혹은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비교적 효과적이며 최적의 정보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 유용한 도구입니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한꺼번에 많은 사람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구분석 도구입니다. 요구분석을 위해 자료를 수집할 때 설문지법을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의 격차를 규명하는 요구분석에 잘 부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설문지법은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는 다른 자료수집 방법들과 복합적으로 쓰일 때 더 타당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Mann(1998)은 요구분석을 위해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해야 성공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습니다.

 

※ 참고문헌: 서울 ・경기 지역 외국인학교 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정지윤,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