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고교학점제

고교학점제: ⑩ 해외 운영 사례(핀란드)

by 신박에듀 2019. 5. 15.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무학년제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미국(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고교학점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유럽권의 나라들 중 학생의 자율권 보장이 실질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핀란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학사제도

  핀란드의 학제는 취학 전 과정 1, ·중학교 9, 고등학교 3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의 경우 국가교육위원회에서 교육목표, 과목 및 시수 등을 결정하고 지역교육청에서 대략적인 과목의 이수기준을 결정합니다. 단위학교에서는 상부에서 결정된 교육과정의 포맷 안에서 학교 실정에 따라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 및 운영하며, 상담시간도 교과목에 포함시킵니다. 이처럼 확정된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의 요청에 따라 단위학교 홈페이지에 과목명, 과목코드 및 이수 순서,, 각 학년별로 이수 가능한 교과 옵션 등의 학교교육과정을 상세히 명시하게 되어있습니다. 학생들은 학년 구분 없는 무학년제로 1년 과정을 56개 학기로 구성하고, 1학기에 56 코스를 수강하게 되며, 일반계 고등학교는 교과목별로 필수코스와 그 후속 과정인 심화 코스,, 그리고 다양한 과목을 통합한 응용 코스 강좌를 개설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별 학습 계획에 따라 본인이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고 학습하게 되는데, 개인별 학습 계획을 작성할 때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가 함께 3년간의 학습 계획을 작성하고, 매학기 마다 그 성과를 측정하고, 보완하여 학습계획에 반영하는 형태로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메커니즘을 잘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졸업에 필요한 학점의 경우 75개 코스인데 이 중 필수코스는 4751개 정도이고 나머지는 학생의 선택입니다. 특히 선택과목에 따른 시간표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연간 수업시수는 자연스레 학생별로 다양한 형태가 나오게 됩니다. 이 코스를 모두 이수하고 나면 졸업시험 응시 후 통과하면 졸업자격을 획득하게 됩니다. 핀란드의 고교학점제는 이처럼 학생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학사 인프라가 잘 구축이 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모델링이 적절하게 필요해 보입니다.

 

핀란드 야르벤빠 고등학교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교원운영

  장수명(2014)의 연구 핀란드 교사의 역할에 따르면 핀란드에서의 교사의 전통적인 개념은 마을의 심장(the heart of village)입니. 이는 교사들이 지역사회 등 공동체에 지식을 파급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지요. 전통적인 핀란드의 교사상은 지역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직업군의 역할을 담당했던 것입니다. 현재에 들어서는 보다 복잡해진 사회에서 단순한 지식 파급자가 아닌 그 역할이 더욱 커졌고 확장되어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핀란드 학교 장면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교장들이 교사들의 헌신과 근면에 대한 공헌을 존중하고 그들에게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교사들이 자율적 전문가로서의 존재이며 그들의 헌신과 전문성을 신뢰하는데서 비롯됩니다. 한편 핀란드 교사들이 모두 일정 수준의 전문성 확보가 이루어진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핀란드의 교사는 모든 교사에게 석사학위가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교사 유형에 따라 다소 다른 점이 있겠지만 초·중등 교사의 자격은 정규 석사학위가 필요합니다. 이는 석사 수준의 양질의 교사교육을 이끌어 내 교사들의 연구역량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즉 석사학위 취득을 통해 교사들의 능력과 헌신에 대해 사회가 신뢰할 만한 전문성을 획득함과 동시에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핀란드에서는 교사들의 업무는 전문적이고 엄중한 것으로 간주되며, 교사가 되는 것은 일상적으로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매우 어렵고 중요한 전문직에 헌신하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핀란드 교사들은 다른 나라 교사들과 비교할 때 매우 독립적이며 광범위한 자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업연구에 대한 전문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전공교과 이외에 교육학 분야에 대한 연구방법 및 수행 훈련을 함께하고 있으며, 연구역량의 형성과 지속적인 발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사들의 자율성과 높은 수준의 책임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