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이론329

비주얼 씽킹의 교육목표와 교사의 역할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비주얼 씽킹의 개념 및 공동연구자 하우젠의 미적 발달단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비주얼 씽킹의 교육목표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주얼 씽킹(VTS; 시각적 사고전략)의 교육목표 ·미술작품을 점점 더 복합적으로 바라보기 ·발달 단계에 맞추어 질문에 대답하기 ·교사의 주도 아래 또래 그룹의 토의에 참여하기 VTS는 위와 같은 목표를 통해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력, 의사소통 기술을 함양하도록 장려합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질문들을 활용하는데, 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이 그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2.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했나요? 3. 또 무엇을 찾을 수 있나요? 위와 같은 질문들은 감상자에게 미술사적.. 2021. 12. 24.
비주얼 씽킹이란?(VTS; 시각적 사고 전략, 하우젠의 미적 발달단계)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비주얼 씽킹 전략을 활용한 예술교육 및 문해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특정 분야에서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비주얼 씽킹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주얼씽킹(VTS; 시각적 사고전략)의 개념 시각적 사고전략, 줄여서 ‘VTS’란 Visual Thinking Strategies의 약자로,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필립 예나윈(Phillip Yenawine)이 아비가일 하우젠(Abigail Housen)과 미술관 감상교육의 방법으로 연구했고 미술관을 비롯한 여러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감상교육모형을 의미합니다. 이 미술감상교육 모형은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관련이 있는데, 이들은 감상자에게 작품을 제시하며 작품의.. 2021. 12. 23.
사례기반추론(CBR)이란? ② 문제해결과정 및 구성요소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이전의 사례들을 현재의 문제 상황에 적용, 수정, 분석하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내고 사례들을 쌓아가는 사례기반추론(CBR)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례기반추론(CBR)의 문제해결과정 및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례기반추론(CBR)의 문제해결과정 사례기반추론 방법이 처리해야 하는 주요 과제는 현재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문제와 유사한 과거 사례를 찾아, 이 사례를 사용하여 현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해결책을 평가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 성공된 문제는 미래에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장되고, 실패하더라도 같은 실수를 피하고자 실패의.. 2021. 12. 19.
사례기반추론(CBR)이란? ① 개념 및 특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때 본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령 어떠한 장소에 갈 때 과거 가본 경험이 있는 경우 그 경험에 근거하여 쉽게 경로를 찾아가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례기반추론(CBR)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례기반추론(CBR)의 개념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 CBR)은 인지과학,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법의 하나로 연구되었습니다. 인지과학에서는 인간의 모든 추론은 과거의 경험이나 연습으로 생성된 사례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고 보며 이러한 사고 과정을 컴퓨터 과학에서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사례기반추론은 사람은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과거에 문.. 2021.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