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이론329 부모화란?(개념, 유형, 원인, 영향)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한국의 부모-자녀 관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밀착도가 높고 상호의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죠. 때문에 부모는 자녀를 자신의 일부이자 동일시의 대상으로 여기며 보호자로서 강한 책임을 가지고, 자녀 역시 어린 시절부터 학습한 효(孝) 정신을 바탕으로 부모의 노력에 상응하며 살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배경에 근거한 부모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모화의 개념 부모화란 Boszormenyi-Nagy & Spark의 맥락적 가족치료이론의 개념 중 하나로, 어린 자녀가 자신의 발달 단계에서 필요한 욕구는 억압한 채 가정 내에서 정서적 심리적으로 부모, 친구, 배우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이러한 역할들이 긴 시간동안 내면화 되는 것을 뜻합니다. 부모가 어.. 2022. 1. 20. 효과적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개념 및 유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청소년에게 있어 부모는 신체적, 정서적 영향력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기제로 볼 수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개념 의사소통은 인간관계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것이며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쌍방적 상호작용 과정입니다.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하여 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과 정보를 수신해서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며,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행동(Galvin & Brommel, 1986)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자녀와 부모는 의사소통을 통해 생각과 감정을 나눌수 .. 2022. 1. 18. 중년기 여성의 특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중년기는 가족과 사회에서의 생산성을 도모해가야 하는 시기로서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과 사회에서의 과업 수행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생애과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중년기의 특성 및 중년기 여성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중년기의 이해 중년기를 규정하는 연령대가 통일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개 40~60대에 이르는 연령을 포괄하는 시기이며, Erikson(1963)의 발달 단계에서는 대략 35~50세에 해당합니다. Havighurst(1972)는 중년기의 연령적 기준을 35~60세로 보았고 이 시기를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시기, 노화로 인한 신체, 생물학적 변화를 느끼는 시기, 자아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지는 시기,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인생의 완숙기라고 정의하였습.. 2022. 1. 17. 남자 청소년의 특징(여자 청소년과 비교)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청소년기의 사춘기의 여러가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심리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남자 청소년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물학적 특징 남자 청소년의 가장 큰 생물학적 특징은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급증입니다. 이 영향으로 남자 청소년은 근육이 더 발달하고 어깨가 넓어지며 변성이 오고 수염이 자라는 등 2차 성징이 나타나 더욱 남자다운 체형으로 변합니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남자 청소년의 긴장 완화 방식에 영향을 줍니다. 남자 청소년은 중대한 일을 마치는 순간에 희열을 느끼며 짧고 즉각적인 사이클을 통해 자신을 단련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결과 남자 청소년은 즉각적이고 빠른 만족을 찾고, 감정적으로 복잡.. 2022. 1. 1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