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장소애착이란? ② 구성요소

by 신박에듀 2022. 11.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박에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장소애착의 개념 및 선행연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장소애착의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소애착의 구성요소

 

  선행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장소애착의 구성요소는 크게 장소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의존성(place dependence), 장소착근성(place rootedness), 사회적 유대(social bond)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장소애착의 구성요소를 크게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에 주안점을 두어 연구한 것에 착안하여(Brown & Raymond, 2007; White, et al., 2008; Williams, & Vaske, 2003; 성은영 등, 2016; 임범종, 2014; 최승담・강신겸, 2001; 최열·임하경, 2005), 본 포스팅에서는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을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소정체성

  먼저, 장소정체성은 특정 환경에 대한 기억, 해석, 생각(ideas)과 관련된 감정 (feelings)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장소 정체성은 개인의 정체성을 주장하고, 특정 환경에 대한 취향 및 특정 환경에서 하는 활동을 표현하며,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소정체성은 특정 환경의 특성과 그곳에서 발생하는 상호 작용의 특성에 따라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소 정체성은 자아 존중감을 고양시키고, 자신의 공동체에 속한 감정을 증가시키며, 특정 환경의 가치와 정책에 관한 의사소통에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2) 장소의존성

  장소의존성은 기능적(functional) 애착이라고도 하며, 특정 장소에서 원하는 목표 또는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 혹은 조건을 제공하는 장소의 중요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하이킹, 캠핑, 낚시 등을 하기에 좋은 곳이기 때문에 장소로서의 가치가 있거나,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가치가 있는뛰어난 경치를 자랑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 강한 애착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능상의 이유로 특정 개인이 장소의 특정 카테고리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함의합니다. 따라서 장소의존성은 개인의 목표와 활동을 만족시키는 특정 장소의 잠재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특정 활동의 목표 혹은 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대안 장소를 이용하지 않고, 특정 장소를 지속적으로 방문하려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 출처: 도시관광 재생사업에서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장소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고진숙,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