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탐구

장례지도사란? ② 자격 및 교육훈련

by 신박에듀 2021. 12.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장례 절차에 있어 전문인력으로서의 장례지도사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장례지도사의 자격 및 교육훈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례지도사 자격 및 교육훈련

 

  장례지도사가 국가 자격증으로 발급이 된 시기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장례지도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1981년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근거한 ‘염사제도’를 시작으로 하여 1987년에는 「염사관리지침」이 마련되고 운영되다가 1993년 규제가 완화되면서 「염사관리 지침」이 폐기되고 2012년 현재의 국가자격제도가 실시되기 전까지 전 국적으로 22개에 이르는 민간단체에서 무분별하게 자격증을 발급했습니다. 이로 인해 자격증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고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그러나 2012년 8월 5일 국가자격제도가 시행되어 전문 직업인으로 자긍심을 느끼고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장례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절차와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사법」제29조의2(장례지도사)에서 제1항 시ㆍ도지사는 시신의 위생적 관리와 장사업무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장례지도사 자격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제2항 장례지도사가 되려는 사람은 제29 조의3에 따른 장례지도사 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을 마쳐야 하며, 제3항 시ㆍ도지사는 제2항에 따라 장례지도사 교육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장례 지도사의 자격을 무시험검정하고 자격증을 교부하여야 하며, 제4항 장례 지도사의 자격검정 기준, 교육과정 및 자격증 교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장례지도사가 되기 위해 교육기관에서 정해진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장례지도사 자격증을 무시험검정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장례지도사 자격증의 취득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신규 대상자로 표준교육과정의 이론, 실기연습 및 현장실습으로 구분하여 실시합니다. 표준교육과정은 9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 총 300시간을 이수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전공자 교육과정은 2012년 8월 5일 이전에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장례지도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장사업무에 관한 실무경험이 없는 사람을 교육대상으로 하며, 전공자 교육 과정은 이론, 실기연습 및 현장실습으로 구분하여 실시합니다. 전공자 교육과정은 9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총 50시간을 이수해야 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Q-Net)에서는 해당 내용을 안내하고 있으며,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gSite=Q&gId=&jmCd=9013&examInstiCd=1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례지도사 국가자격증은 무시험검정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자격증만 취득한 채로 현장에서 근무하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또한 자격증 취득과정 중 현장실습은 현장에서의 노하우를 배우고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견학 수준에 그친다는 점이 취약점으로 꼽힙니다. 그리고 자격증 취득 후 보수교육이 존재하지 않아 장례지도사의 질적 수준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부분의 장례식장, 상조회사는 신입사원 채용 후 자체적인 재교육 후 현장에 투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예를 들어 Y상조회사는 신입채용 후 4개월간 합숙 교육을 실시한 후 현장근무에 투입하고 있으며, H상조 회사는 2개월간 동행교육을 통해 업무숙련도를 높인 후 현장에 투입합니다.

  이와 같이 장례지도사의 역량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여 회사 자체적으로 내부교육을 실시하지만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교육을 하거나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면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가진 회사들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구성원에게 공통적으로 적 용할 수 있는 교육을 받거나, 외부 교육컨설팅 업체를 통해 필요한 교육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직업적 특수성이 있어서 대부분 교육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 분석(이슬비범,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