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동기이론은 일선 교육장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오래 전부터 거론되어 왔으며, 현재 새로운 교육과정 하에서도 학업동기의 중요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강조를 하고 있지요. 조절초점이론은 인간의 동기와 관련된 이론으로, 인간 행동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절초점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절초점이론의 개념
조절초점이론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서는 자기차이이론(Self-Discrepancy Theory)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Higgins(1987)는 여러 유형의 자기 신념 간의 차이 또는 자기 상태 표상 간 차이가 정서 경험의 종류와 강도를 결정한다고 주장하며 자기의 여러 표상을 구분하기 위해 자기 영역과 관점의 두 가지 심리 변인을 제안하였습니다. 자기(Self)의 영역은 실제 자기, 이상적 자기, 당위적 자기로 구분되며 자기차이이론은 사람들은 각기 다른 자기 지침을 가지고 살아가며 사람들이 어떤 자기지침을 지향하기 위해 동기유발 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조절초점이론의 구분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은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조화를 추구하거나 부조화를 회피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하며 인간의 동기는 쾌락을 위해 이득을 얻으려 추구하는 심리가 있고 고통을 미리 막아서 손실을 피하려 는 회피 심리로 나눌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개인의 자기조절 행동을 예측하는 가장 큰 요인은 동기이며 인간의 행동은 동기로부터 유발되기 때문에 다양한 동기이론 중 인간의 기질적인 특성을 포함하는 가장 근원적인 동기이론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조절초점 이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절초점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크게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접근동기와 예방을 초점으로 하는 회피동기를 가진다고 하였습니다.
Higgins(2002)는 개인의 동기가 두 가지 상반된 조절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긍정적 결과가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며 도달해야 할 최대목표라고 간주하는 향상초점 (Promotion Focus)과 부정적 결과가 없는 상태가 바람직하며 도달해야 할 최소기준으로 간주하는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입니다.
※ 참고문헌: 항공서비스 전공자의 기본심리욕구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혜승,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포드(Guilford)의 확산적 사고 알아보기(개념 및 요소) (0) | 2021.11.12 |
---|---|
향상초점이란?(개념 및 특징) (0) | 2021.11.08 |
양육 스트레스란?(개념 및 연구) (0) | 2021.11.01 |
알아차림(Mindfulness)이란?(개념 및 효과) (0) | 2021.10.25 |
문화관광해설사란?(제도 및 역할) (1)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