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향상초점이란?(개념 및 특징)

by 신박에듀 2021. 11.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조절초점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Higgins(2002)는 개인의 동기가 두 가지 상반된 조절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긍정적 결과가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며 도달해야 할 최대목표라고 간주하는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부정적 결과가 없는 상태가 바람직하며 도달해야 할 최소기준으로 간주하는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향상초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향상초점의 개념

 

  향상초점은 목표 상태인 성취에 접근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반면 예방초점은 목표 상태인 안전과 불일치하는 상태, 즉 위험을 회피하는 데 초점을 두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이나 상황에서도 자신의 조절초점 동기로 인해 태도나 행동의 선택이 달라집니다. 또한, 향상초점은 자신이 달성하기 원하는 이상 추구의 자기규제인 이상적 자기규제(Ideal Self-Regulation)를 가지고 있고, 예방초점은 의무나 책임과 같은 당위 추구의 자기규제인 당위적 자기규제(Ought Self-Regulation)를 가지고 있습니다. 양쪽 모두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 목적이 있으나 이를 위해 사용하는 전략, 수단, 방법은 각기 다른데요. 향상초점이 강한 사람은 성장 욕구가 강하고 희망과 포부를 중시하며 손실보다는 획득에 집중하는 반면 예방초점은 안전욕구가 강하며 규칙과 책임을 무손실에 집중합니다.

  향상초점(Promotion Focus)은 개인이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성취하여 현재 상황에 대하여 향상시키고자 하는 상태로 정의하며, 개인이 성취할 수 있는 긍정적 결과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쾌락을 위해 무엇인가를 획득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희망, 이상, 진보, 성취, 포부 등의 조절초점을 선호합니다. 이런 향상초점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개인의 발전과 성장에 관심이 많고 개인이 열망하는 이상적인 자아 추구를 자신의 목표로 삼기 때문에 긍정적 결과나 이득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향상초점은 자신이 목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향상초점을 추구하는 개인의 경우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것에 관심을 두게 되며, 이들은 긍정적인 정보와 정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목표달성과 성공과 칭찬 및 보상을 받기 위해 접근 동기를 보이게 됩니다. 반면, 예방초점을 추구하는 경우 안전 또는 위험하지 않은 것을 추구하며 부정적인 사건과 정서 및 결과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자신이 싫어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동기화되며 이들은 실패하지 않기 위해 처벌이나 부끄러움을 당하는 것을 피하고자 회피 동기를 가지게 됩니다.

 

 

 

 

2. 향상초점의 특징

 

  향상초점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현실과 이상 간 불일치를 인지하고 이를 이상으로 이끌려고 하는 의지를 보이며 이상적 결과와 목표달성을 위해 접근 지향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목표에 도달하면 성취감을 얻고 목표에 실패하면 낙담을 경험하게 됩니다. 예방초점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은 도전적 과제, 성장보다 안전과 현재 상태의 안정에 초점을 두고 해야 할 의무와 책임 등을 실행하는 의무사항을 추구하며 자신이 얻을 이익보다 손해를 입을 수 있는 실패에 더욱 민감해하고 목표를 이루는 데에 무리가 가는 것을 회피하려는 특성을 보입니다

 

 

※ 참고문헌: 항공서비스 전공자의 기본심리욕구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혜승,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