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학습몰입이란?(개념, 구성요소)

by 신박에듀 2021. 1.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Csikszentmihalyi에 의해 처음 소개된 몰입은 어떠한 수행에 몰두하여 시간, 피로뿐만 아니라 수행 그 자체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최적 경험의 상태로서, 개인에게 주어진 환경과 최적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경험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몰입 경험을 ‘물 흐르 듯 자연스러운 행동 상태’라고 표현하며 “flow”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몰입이 학습과 연계된 학습 몰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학습몰입의 개념

 

  Csikszentmihalyi, Rathunde & Whalen(1993)은 몰입을 개인이 활동 그 자체 이외의 모든 것을 잊어버릴 정도로 완전히 빠져든 주관적 심리상태라고 정의하였으며, Csikszentmihalyi & Nakamura(1989)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즐길 때 또는 그 외에 어떤 것도 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느끼는 감정 상태라고 정의하였습니다.

  학습상황에서 몰입이란, 학습자가 학습과제를 수행하면서 학습활동에 완전히 빠져들어 몰두한 상태로(Steele & Fullagar, 2009), 이러한 몰입의 경험은 그 자체로 학습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고 내재 동기를 증진시킵니다. Harju & Eppler(1997)은 학습상태에서의 몰입은 학습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집중・참여를 촉진시켜주는 심리적 기제이며, 학습 몰입은 학습과제에 대한 즐거움과 만족감으로 인해 주어진 학습과제를 완전히 흡수하였을 때 나타나는 개인적인 최적의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학습 몰입은 학습자의 학습 흥미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고 창의성・즐거움・능력개발・최고 수준의 학습경험 그리고 자아존중감 등을 경험하게 해 줌으로써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초기의 학습몰입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학습과제에 실제 관여하는 시간으로 몰입을 정의하였으나, 최근에는 학습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학습결과를 위해 집중하는 노력의 질(Quality of effort)로 정의되고 있으며, 학습과정에서의 학습자의 집중, 흥미, 노력 등의 강도를 의미합니다.

  국내연구에서 학습 몰입의 정의를 좀 더 살펴보면, 이기택(2001)은 학습자가 특정한 활동에 깊이 빠져 들어가는 집중의 상태, 이은주(2001)는 학습 과정에서 완전히 흡수되어 있는 상태라고 하였고, 김진호(2002)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활동에 완전히 몰두하는 상태, 석임복(2007)은 학습 상황에서 학습하고 있는 활동에 완전히 몰두하여 시간 감각, 주변 상황을 의식하지 못하고 심지어 자의식도 잊어버리며 즐거움과 재미를 수반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박성익・김연경(2006)은 학습과제의 해결이나 어떤 학습활동에 완전히 빠져들어 오로지 과제 해결을 위해 모든 정신 과정과 활동을 하나로 모으는 최상의 집중 경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지혜(2009)는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주의가 목표만을 향하여 자유롭게 사용되며 학습에 빠져있는 매우 즐거운 상태라고 정의하였습니다.

 

 

 

 

2. 학습몰입의 구성요소

 

  Csikszentmihalyi(1990)는 일상의 경험에서 몰입에 대한 개인의 절정 순간을 직접 측정한 심층적인 면접법을 통한 조사로 몰입(flow)을 구성하는 요소로 도전과 기술이 조화, 명확한 목표, 구체적인 피드백, 행위와 의식의 통합, 과제에 대한 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 감각의 왜곡, 자기 목적적 경험이라는 9가지 요소를 제시하였습니다.

 

 1) 도전과 기술의 조화(Challenge-skill balance)

  Csikszentmihalyi는 몰입의 주요 특징으로 조던과 기술의 황금비율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비율은 학습자가 지각한 과제에 대한 대처능력이 과제에서 요구하는 평균이상의 높은 요구 수준과 조화를 이룰 때를 말합니다. 만약 주어진 학습과제가 개인의 능력 밖의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며 반대로 학습과제가 개인의 능력에 비해 너무 쉽다는 생각이 들면 지루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즉 학습과제가 주는 도전 수준과 학습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능 수준이 유사하더라고 두 가지 모두 낮은 수준일 경우 무관심 상태를 경험하고, 두 가지 모두 높은 수준일 경우 몰입 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학습과제에 대한 도전과 적절한 학습자의 능력이 균형을 이룰 때 학습 몰입을 경험하게 됩니다.

 

 2) 명확한 목표(Clear goals)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은 학습자 자신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이끌어줍니다. 따라서 명확한 목표는 사전에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여 정확히 무엇을 해야 할 지 아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목표는 의도하지 않는 상황이 닥치더라도 학습자 스스로 행동을 수정해나가면서 단계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목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며, 분명하고 명확한 목표의 설정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알게 해 줌으로 몰입 경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 구체적인 피드백(Unambiguous feedback)

  학습자 자신이 하고 있는 활동이 학습목표에 맞게 수행되고 있는지, 그 활동이 조화롭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순간순간 인지하고 지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습자는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목표 도달에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되며 스스로에게 정확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함으로써 수행을 한층 향상시켜 몰입을 경험하게 됩니다.

 

 4) 행위와 의식의 통합(Action-awareness merging)

  학습활동에 완전히 몰두하게 되면 학습자는 자신의 활동에 완전히 투사 하기 때문에 학습활동과 인식이 분리되지 않고 자발적이며 자연스럽게 학습활동이 이루어집니다. 즉 학습자 자신의 생각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학습 활동과 하나가 되어 학습자 자신도 모르게 또는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의식과 행위가 통합하려면 학습활동이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하며, 몰입은 학습과제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과정이 있고 단계가 있으며 규칙이 있는 것일수록 학습 몰입을 좀 더 쉽게 경험할 수 있게 됩니다.

 

 5) 과제에 대한 집중(Concentration on task at hand)

  몰입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다른 것에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철저하게 과제수행에만 집중을 하게 되는 상태로서, 학습과제와 무관한 생각, 불안 등 불필요한 자극들이 의식에 스며들지 못하도록 순간적으로 의식에서 차단 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몰입 경험을 할 때의 집중은 명확한 목적과 즉각적인 피드백과 함께 의식에 질서를 제공하여 의식이 질서 정연한 상태를 제공하며, 몰입 경험에서 일어나는 집중은 도전과 능력의 균형에서 비롯되는 체계적인 집중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6) 통제감(Sense of control)

  통제감은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지각할 수 있다는 의식으로 학습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바람직한 결과에 대한 기대가 있을 경우에 생깁니다. 즉 통제 감은 몰입하는 동안 학습자가 통제하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스스로가 통제를 하고 있다는 즐겁고 유익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또한 무슨 일이 있어도 잘할 수 있다는 생각과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서도 인지 할 수 있다고 지각합니다. 따라서 실제로 통제를 한다기보다 는 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이 가능성은 돌발 상황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느끼기보다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 상황을 스스로 통제 또는 대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Csikszentmihalyi(1990)는 통제감이 자의식 상실과 모순되기 때문에 이를 ‘통제의 모순’이라고도 하였습니다.

 

 7) 자의식의 상실(Loss of self-consciousness)

  자의식의 상실이란 몰입상태에서 학습자들은 학습활동 그 자체에서 느끼는 만족감, 즐거움 때문에 자아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특히 몰입 상태에서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학습활동 자체에 몰두하기 때문에 자의식에 신경 쓸 여유가 없으며, 자아에 대한 관심은 학습자가 학습활동과 하나가 될 때 몰입하는 동안 사라집니다. 이는 학습자가 몰입 활동과 일치함으로써 행위의 주체가 되는 경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8) 시간감각의 왜곡(Transformation of time)

  몰입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의 변형된 감각 또는 시간의 변형으로, 시간의 인식이 잘 되지 않거나 시간에 대한 지각이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몰입 상태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게 되어 평소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흘러가는 것처럼 왜곡돼서 지각되며, 몰입 상태에서 학습자는 실제 시간보다 시간이 빠르게 흘러갔거나 몰입해 있는 순간 시간이 정지된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9) 자기 목적적 경험(Autotelic experience)

  자기 목적적 경험은 이익에 대한 기대가 아닌 스스로의 내적 만족을 위한 자기 독립적 행동을 의미하는 독특한 영역으로, 학습자가 몰입하고 있는 그 경험자체가 목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Csikszentmihalyi는 경험 자체가 보상이 되는 이 요소를 몰입에서의 최종적인 결과라고 하였습니다. Jackson & Marsh(1996) 또한 몰입 경험의 결과가 자기 목적적 경험이라고 말하였으며, 자기 목적적 경험을 통해서 활동 그 자체에 재미를 느끼게 되며, 그 활동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순환 관계를 보임으로써 몰입을 지속시킬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몰입은 이러한 9가지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총체적으로 어떤 활동에 완전히 빠져있는 상태를 말하며, 최적의 몰입 경험은 한 가지 차원의 경험이 아니라 9가지 요인들이 상호의존적이고 복합적으로 결합되어야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 참고문헌: 평생직업교육학원의 바리스타교육이 학습 몰입, 자기 효능감,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김득만,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