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학교현장에서 사회성을 습득하는 청소년들은 어떠한 사건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이를 계기로 자아 심리가 더욱 풍부해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한 자아탄력성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아탄력성의 개념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Block(1980)이 처음으로 resilience를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개인의 자아, 특히 상황에 따라 자아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여 설명하면서 "resilience"에 "ego"를 덧붙여 자아탄력성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습니다. 즉, 그에 의하면 한 개인이 탄력적이기 위해서는 자아가 “현실 원리”에 따라 적절한 자아통제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자아가 상황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자아통제를 이룰 수 있을 때 탄력적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자아탄력성은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들이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 유연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으로,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감정차원을 조절하고 상황과 환경적 수반성을 변화시키는 적응적 차원이며, 넓은 의미로는 내· 외적 스트레스에 대해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자아탄력성은 당면한 상황과 대처를 위해 자아통제의 수준을 변화시키는 자아의 동기 조절 능력과 인지적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환경적인 변화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 따라 자아를 과소 통제하거나 과다 통제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개인의 역동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자아통제의 개념
자아탄력성의 개념에서 설명한 자아통제란 자아의 여러 기능 중에 충동조절에 강조를 둔 개념으로, Block(2006)은 자아통제성을 행동 혹은 주의와 관련된 충동들에 대한 개개인들의 특징적이면서도 일상적인 반응 양식이라고 개념화하였고, 내적인 압력과 유혹에 대해 상대적으로 주의를 너무 잘 기울이고 또 쉽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을 과소 통제자 그리고 행동적 혹은 주의와 관련된 충동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억제되어있는 사람을 과대 통제자라고 지칭하였습니다. Block은 개인의 자아통제능력을 하나의 연속체로 설명하고 있는데, 연속선상에 있는 한쪽 끝은 과대 통제를 나타내고 다른 한 끝은 과소 통제를 나타냅니다. 과대 통제는 충동의 과도한 억제, 만족의 지연, 행동과 정서의 억제 및 환경적 방해자로부터, 장애로부터 철회를 의미하고, 과소 통제는 충동의 불충분한 조절, 동기나 정서의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표현, 환경적 장애, 방해자들에 대한 취약성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과소 통제하거나 과다 통제할 때 개인은 탄력적이 못하여 효과 적인 적응을 할 수 없게 됩니다.
Block에 의하면 자아통제력이 모든 상황에서 언제나 이익이 되거나 적응적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아 통제력의 수준이 높고 낮은 것 그 자체만으로는 개인이 얼마나 적응적인 조절 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 개인의 특징적인 과소 혹은 과대 자아통제의 결과가 적응적일지 부적응적일지는 자아 통제성의 수준 그 자체가 아니라, 다양하게 변화한 환경적 요구에 따라 일시적으로 통제의 수준을 더 높이거나 더 줄일 수 있게 해주는 자아 탄력성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이런 측면에서 자아탄력성은 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아통제를 강화시키거나 완화시키는 메타적인 능력을 의미합니다(Block & Kremen, 1996). 즉, 인간의 적응적 조절은 자아 통제력과 같이 한 개인의 단순 한 충동 억제 힘이나 경향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황적 요구에 합당하게 자기 통제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환경적 맥락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한 개인이 자신의 특징적인 자아통제의 수준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동적인 능력, 즉 자아탄력성의 수준이 높은 자아 탄력적인 개인은 새로운 상황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풍부한 자원을 갖추고 있는 반면, 자아탄력성의 수준이 낮은 자아가 취약한 개인은 새로운 상황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적응적인 유연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3.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Block에 의하면 자아탄력적인 사람은 불안에 민감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새로운 경험에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며 중간 수준의 자아-통제를 하는 경향이 있고, 체계의 평형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환경 맥락의 요구에 따라 자아-통제 수준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은 상황에 적절한 문제 해결전략을 가지고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반면, 자아가 손상된 아동은 상황적 요구를 충동적이고, 비 통제적으로 적응하는 성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자아탄력성을 지닌 아동은 적절한 자아통제를 통하여 스트레스 하에서도 유능하고 효율적으로 지적 능력을 발휘하며 재치가 있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특별한 상황적 맥락의 요구에서 지각적이며, 인지적으로 행동적인 해결전략을 수행합니다.
Klohnen(1996)도 자아탄력성을 외적, 내적 긴장원에 맞서 유연하고 풍부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능력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는 자아탄력적인 사람들은 상황에 따라 긴장, 인내의 수준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조절 능력이 높기 때문에 낯선 상황에서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들에 유연하게 반응함으로써 성공적인 적응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 참고문헌: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성선진, 2010)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조절능력이란?(개념, 구성요소) (0) | 2020.11.21 |
---|---|
적응유연성이란?(개념, 특징, 기능) (0) | 2020.11.20 |
ASSURE 수업설계 모형이란?(개념, 구성) (2) | 2020.11.17 |
사회적 지지원 알아보기(사회적 지지) (0) | 2020.11.16 |
사회적 지지란?(개념 및 구성요소) (4)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