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신박에듀입니다. 천장크레인은 조선소, 제철소, 철도공작창, 대형기계 제조업체 등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운전 시 화물의 낙하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의 대형사고가 날 위험이 매우 클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 등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기능이 요구되어 자격제도를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필기개요
직무분야 | 건설 | 중직무분야 | 건설기계운전 | 자격종목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 적용기간 | 2023.1.1.∼2025.12.31. | |||||
○ 직무내용 : 천장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인양작업과 이동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가동준비를 하고, 작업안전에 유의하여 운전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 ||||||||||||
필기검정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60 | 시험시간 | 1시간 |
2. 필기과목 및 세부항목
필 기 과목명 |
출 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천장크레인 운전, 안전관리 및 점검 |
60 | 1. 작업 전 장비점검 |
1. 줄걸이 용구 점검 | 1. 작업지시서(중량물작업계획서) 이해 2. 줄걸이 작업안전수칙 3. 중량물의 종류 및 형태 4. 줄걸이 용구의 종류와 사용법 5. 줄걸이 용구의 점검 및 폐기기준 6. 기타 줄걸이 용구에 관한 사항 |
2. 작업 관련장치 점검 | 1. 제작사지침서 및 크레인 규격 2. 와이어로프의 종류 및 특징 3. 훅의 구조 및 역할 4. 거더(Girder)의 기계적 손상여부 판단 능력 5. 새들 6. 그래브프레임(트롤리프레임) 7. 보도 |
|||
3. 조종실 점검 | 1. 천장크레인 조종실의 구조 2. 천장크레인 전기 제어시스템의 이해 3. 조작반의 램프 점등상태에 따른 조치 4. 조종레버 작동상태 확인 |
|||
4. 장비 작동상태 점검 | 1. 인양, 횡행 및 주행장치의 작동점검 2. 안전장치의 기능 및 작동점검 3. 천장크레인의 제원 및 성능 4. 천장크레인 일상점검 |
|||
5. 작업장 안전 및 산업안전 | 1. 풍속 2. 안전작업 3. 산업안전 일반 4. 기계․기기 및 공구에 관한 사항 |
|||
2. 중량물 체결 확인 |
1. 줄걸이 용구 이동 | 1. 줄걸이 용구 취급방법 |
||
2. 중량물 체결상태 확인 | 1. 줄걸이 용구 종류에 따른 체결 상태 2. 줄걸이 방법 3. 중량, 무게중심, 비중 |
|||
3. 중량물 권상작업 | 1. 작업안전상태 확인 | 1. 권상 작업안전수칙 2. 중량물 상태 3. 인양 와이어로프 점검 |
||
2. 중량물 들어올리기 | 1. 중량물의 종류에 따른 작업방법 2. 로드 게이지(Load Gauge) 확인 |
|||
4. 중량물 권하작업 |
1. 작업 안전거리 확인 | 1. 중량물 권하작업 시 작업안전수칙 2. 중량물 고임대의 종류 및 특성 |
||
2. 중량물 내려놓기 | 1. 중량물 흔들림 제어방법 2. 인양장치의 하강속도 제어 |
|||
5. 주행작업 | 1. 장애요인 확인 | 1. 주행 시 작업안전수칙 2. 장애요인의 종류 |
||
2. 좌ㆍ우 이동 | 1. 중량물 이동 시의 수평상태 유지 2. 중량물 이동 시 제어시스템 |
|||
3. 주행 시 중량물 제어 | 1. 천장크레인의 주행 작동원리 |
|||
6. 횡행작업 | 1. 장애요인 확인 | 1. 횡행작업 시 작업안전수칙 2. 장애요인의 종류 |
||
2. 전ㆍ후 이동 | 1. 중량물 이동 시 특성 |
|||
3. 횡행 시 중량물 제어 | 1. 천장크레인 횡행 작동원리 |
|||
7. 병행작업 | 1. 인양과 주행, 횡행 동시 조작 | 1. 중량물의 인양과 주행, 횡행 동시작업 시 특성 2. 병행작업 시 작업안전수칙 3. 장애요인의 종류 |
||
2. 병행작업 시 중량물 제어 | 1. 병행작업 시 중량물 이동 수평상태 유지 2. 병행작업 시 중량물 이동 제어시스템 |
|||
8. 작업 후 장비점검 | 1. 장비 작동상태 점검 | 1. 비상정지스위치의 작동 및 점검 2. 인양장치의 작동 및 점검 3. 횡행장치 작동 및 점검 4. 주행장치 작동 및 점검 |
||
2. 조종실 점검 | 1. 작업종료 후 조치사항 |
|||
3. 작업 관련장치 점검 | 1. 작업종료 후 관련장치 점검 |
|||
4. 기계장치 점검 | 1. 기계장치 구성요소 2. 동력전달장치 3. 감속기 4. 훅블록 및 섀클 5. 드럼 6. 줄걸이 용구 7. 브레이크 8. 횡․주행 스토퍼 9. 훅 해지장치 등 10. 정비․점검(마모한도 등)에 관한 지식 11. 유지관리에 관한 지식 |
|||
5. 전기장치 점검 | 1. 전기장치 구성요소 2. 제어기(유, 무선콘트롤러) 3. 전동기 4. 제어반, 배전반 5. 집전, 급전, 배선 등 6. 전기ㆍ전자 기초 원리 7. 리미트 스위치 8. 충돌방지시스템 9. 과부하방지장치 10. 권과방지장치 11. 비상정지장치 |
|||
9. 신호체계 확인 | 1. 수신호 확인 | 1. 신호체계 확인 2.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 |
||
2. 무선음성신호 확인 | 1. 무전기 사용지침 2. 무전기 송수신 채널설정 방법 |
|||
3. 신호수 안전 확인 | 1. 신호체계 작업안전 수칙 |
|||
4. 기타신호 확인 | 1. 기타 신호에 관한 사항 |

3. 실기개요
직무분야 | 건설 | 중직무분야 | 건설기계운전 | 자격종목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 적용기간 | 2023.1.1.∼2025.12.31. | |||
○ 직무내용 : 천장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인양작업과 이동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가동준비를 하고, 작업안전에 유의하여 운전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 수행준거 : 1. 안전한 중량물 인양작업을 위해 작업 시작 전 작업에 필요한 줄걸이 용구의 손상여부를 점검하고 천장크레인의 작업 관련 장치, 조종실 및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줄걸이 용구와 중량물의 정확한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천장크레인을 운전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 및 내려놓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천장크레인을 운전하여 중량물을 좌ㆍ우, 전ㆍ후로 이동함으로써 권하지점까지 최단거리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 천장크레인을 운전하여 중량물을 병행 이동함으로써 권하지점까지 최단거리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6. 중량물 인양작업이 끝난 후 천장크레인의 작동상태, 조종실, 작업 관련 장치, 기계실 및 전기실을 점검하여 천장크레인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7. 중량물 인양작업 시작 전 수신호와 무선음성신호의 체계 및 신호수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작업형 | 시험시간 | 15분 정도 |
4. 실기과목 및 세부항목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천장 크레인 운전 실무 |
1. 작업 전 장비점검 |
1. 줄걸이 용구 점검하기 | 1. 작업지시서에 따라 인양할 중량물의 종류, 형태 및 무게에 적합한 줄걸이 용구의 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줄걸이용 와이어로프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3.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줄걸이용 벨트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
2. 작업 관련 장치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거더(Girder)의 기계적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 와이어로프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 와이어로프의 시브(Sheave)에서 이탈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드럼에 감겨있는 인양 와이어로프의 정렬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5.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카고 훅(Cargo Hook)의 시브, 블록(Block) 및 훅 해지장치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
||
3. 조종실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가 중립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조종실 내 모든 전기장치의 전원을 켤(On)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의 램프 점등상태를 확인하여 운전 조작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조종실 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
||
4. 장비 작동상태 점검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작업조종레버와 각종 스위치 조작이 쉽도록 의자를 조정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의 제어전원을 켤(On)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인양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횡행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5.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주행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6.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횡행운전과 주행운전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며 작동하는지 점검할 수 있다. 7.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을 주행하여 충돌방지장치의 정상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8.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의 비상정지스위치를 눌러 천장크레인이 정상적으로 비상정지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9.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의 제원과 성능을 확인하고 천장크레인에 대한 작업 시작 전 일상점검을 할 수 있다. |
|||
2. 중량물 체결 확인 |
1. 줄걸이 용구 이동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신호수의 위치 및 중량물과 줄걸이 작업자와의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의 인양, 횡행 및 주행 장치를 조종하여 줄걸이 용구를 흔들림 없이 들어 올릴 중량물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
|
2. 중량물 체결상태 확인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줄걸이 작업자가 줄걸이 용구를 안전하게 중량물에 체결할 수 있도록 인양장치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을 들어 올리기 전 중량물과 줄걸이 용구가 정확히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
3. 중량물 권상작업 | 1. 작업안전상태 확인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 와이어로프와 중량물이 수직인 상태에서 중량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들어 올릴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을 약 30cm 들어 올린 후 작업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육안으로 중량물의 무게중심을 확인할 수 있다. |
|
2. 중량물 들어올리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이동할 중량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안전높이까지 들어 올릴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을 작업장의 구조물 또는 다른 중량물과 충돌 없이 들어 올릴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로드 게이지(Load Gauge)를 확인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확인할 수 있다. |
||
4. 중량물 권하작업 | 1. 작업 안전거리 확인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작업장의 중량물 인하지점에 장애물이 제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작업장의 중량물 인하지점에 고임대가 정상적으로 놓여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작업장의 중량물 인하지점과 줄걸이 작업자와의 안전거리가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2. 중량물 내려놓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인하지점으로 내릴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을 인하지점 약 30cm 위에 정지하여 작업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과 인하지점과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양장치의 하강속도를 감속하여 중량물을 인하지점에 내려놓을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을 인하지점에 내려놓은 후 줄걸이 작업자가 안전하게 줄걸이 용구를 해제할 수 있도록 줄걸이 용구를 충분히 내려줄 수 있다. |
||
5. 주행작업 |
1. 장애요인 확인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시 제거할 수 있다. |
|
2. 좌ㆍ우 이동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사이렌을 울린 후 천장크레인을 주행하여 중량물을 좌ㆍ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좌·우 이동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주행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좌·우 이동 시 중량물을 작업장의 구조물 또는 다른 중량물과 충돌 없이 안전하게 인하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
||
3. 주행 시 중량물 제어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 시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 시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주행할 수 있다. |
||
6. 횡행작업 |
1. 장애요인 확인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시 제거할 수 있다. |
|
2. 전ㆍ후 이동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을 조종하여 중량물을 전ㆍ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전·후 이동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횡행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전·후 이동 시 중량물을 작업장의 구조물 또는 다른 중량물과 충돌 없이 안전하게 인하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
||
3. 횡행 시 중량물 제어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횡행 시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횡행 시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횡행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횡행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7. 병행작업 |
1. 장애물 확인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 중량물 이동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시 제거할 수 있다. |
|
2. 인양과 주행 동시 조작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주행을 동시에 조작하여 최단거리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주행 시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주행 시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주행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주행할 수 있다. |
||
3. 인양과 횡행 동시 조작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횡행을 동시에 조작하여 최단거리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횡행 시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횡행 시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과 횡행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횡행할 수 있다. |
||
4. 주행과 횡행 동시 조작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과 횡행을 동시에 조작하여 최단거리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과 횡행 시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과 횡행 시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주행과 횡행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이동할 수 있다. |
||
5. 병행작업 시 중량물 제어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중량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작업계획서에 따라 중량물을 내려놓을 작업장의 지정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병행작업 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신호수의 신호를 받으면서 천천히 이동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8. 작업 후 장비점검 |
1. 장비 작동상태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의 비상정지스위치를 눌러 천장크레인이 정상적으로 비상정지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인양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횡행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주행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5.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작업조종레버를 조작하여 횡행 운전과 주행 운전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며 작동하는지 점검할 수 있다. |
|
2. 조종실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조종실 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의 램프 점등상태를 확인하여 운전 조작반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운전 조작반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가 작업완료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조종실 내 모든 전기장치의 전원을 끌(Off) 수 있다. |
||
3. 작업 관련 장치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거더(Girder)의 기계적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 와이어로프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인양 와이어로프의 시브(Sheave)에서 이탈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드럼에 감겨있는 인양 와이어로프의 정렬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5.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카고 훅의 시브, 블록 및 훅 해지장치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
||
4. 기계장치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 주행ㆍ횡행장치의 차륜 및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의 전동기, 감속기 및 제동기의 이상발열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천장크레인 감속기의 윤활유 유량 및 누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
5. 전기장치 점검하기 | 1.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각종 리밋스위치(Limit Switch)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구동 제어반의 각종 표시등 판별 및 이상소음 발생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3.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변압기의 각종 표시등 판별 및 이상소음 발생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4. 제작사지침서에 따라 고압반의 각종 표시등 판별 및 이상소음 발생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9. 신호체계 확인 |
1. 수신호 확인하기 | 1.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에 따라 크레인 작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표준 수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2.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에 따라 마그네틱 크레인 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의 표준 수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3. 천장크레인 작업장에서 천장크레인 2대를 병렬 운전하여 작업할 때의 수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
|
2. 무선음성신호 확인하기 | 1.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에 따라 무전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에 따라 천장크레인 작업에서의 무선음성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3.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신호수와의 무선음성신호에 사용하는 약식용어를 확인할 수 있다. |
||
3. 신호수 안전 확인하기 | 1.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지정된 신호수를 확인할 수 있다. 2.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육안으로 신호수의 위치 및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작업안전수칙에 따라 신호수와의 무전교신을 통해 신호수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5. 공개문제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pdf
0.19MB
※ 출제기준: 큐넷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반응형
'직업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첨부]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6.28 |
---|---|
[파일첨부]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6.27 |
[파일첨부] 천공기운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6.25 |
[파일첨부] 지게차운전기능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6.24 |
[파일첨부]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