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신박에듀입니다. 최근 방위산업분야는 국산화를 통한 대량생산체계의 구축으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크게 팽창되고 있으며, 궤도장비는 특성상 고도의 기술력 집합체로서 전문화 및 효율적 운용,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우수한 정비요원을 양성하고, 군내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부분에서도 체계적이고 기술적으로 검증된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여 방위산 업분야의 정비지원체제를 뒷받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궤도장비정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필기개요
직무 분야 |
기 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자격 종목 |
궤도장비정비기능사 | 적용 기간 |
2020. 1. 1 ~ 2024. 12. 31 | ||||
○직무내용 : 궤도장비(전차, 장갑차, 자주포)에 관한 기술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공구 및 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유압장치, 동력장치,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 부위를 진단하고 규정된 검사 및 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 |||||||||||
필기검정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60 | 시험시간 | 1시간 |
2. 필기과목 및 세부항목
필기 과목명 |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궤도장비 정비, 공유압 일반, 일반기계 공학 및 안전 |
60 | 1. 일반기계공학 |
1. 기계공작 | 1. 손 다듬질 2. 측정 3. 공작기계 가공 |
2. 기계요소 | 1. 결합용 기계요소 2. 전동용 기계요소 3. 스프링 및 축과 베어링 |
|||
3. 용접일반 | 1. 용접일반 및 피복아크 용접 2. 가스용접 3. 특수용접 |
|||
2. 궤도장비정비 |
1. 전차 동력발생장치 | 1. 동력 발생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발생장치 검사정비 |
||
2. 전차 전기장치 | 1. 전기장치구조 및 기능 2. 전기장치 검사정비 |
|||
3. 전차 동력전달장치 | 1. 동력 전달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전달장치 검사 정비 |
|||
4. 전차 현수장치 | 1. 현수장치 구조 및 기능 2. 현수장치 검사 정비 |
|||
5. 전차 포탑장치 | 1. 포탑장치구조 및 기능 2. 포탑장치 검사정비 3. 사통장치구조 및 기능 4. 사통장치검사정비 |
|||
6. 전차의 기타장치 |
1. 기타장치 구조 및 기능 2. 기타장치 검사정비 |
|||
7. 자주포 동력발생장치 |
1. 동력 발생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발생장치 검사정비 |
|||
8. 자주포 동력전달장치 | 1. 동력 전달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전달장치 검사 정비 |
|||
9. 자주포 현수장치 | 1. 현수장치 구조 및 기능 2. 현수장치 검사 정비 |
|||
10. 자주포 포탑장치 | 1. 포탑장치구조 및 기능 2. 포탑장치 검사정비 |
|||
11. 자주포 기타장치 | 1. 기타장치 구조 및 기능 2. 기타장치 검사정비 |
|||
12. 장갑차 동력발생장치 | 1. 동력 발생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발생장치 검사정비 |
|||
13. 장갑차 동력전달장치 | 1. 동력 전달장치 구조 및 기능 2. 동력 전달장치 검사 정비 |
|||
14. 장갑차 현수장치 | 1. 현수장치 구조 및 기능 2. 현수장치 검사 정비 |
|||
3. 유압일반 | 1. 유압기초 이론 | 1. 유압의 원리 2. 유압의 장단점 3. 유압유의 종류 4. 유압유의 판별법 및 관리방법 |
||
2. 유압장치의 구성 및 부속기기 | 1. 유압 펌프의 종류 및 특징 2. 유압 제어밸브 3. 유압실린더의 종류 4. 축압기의 및 배관이음 |
|||
3. 유압회로의 구성 | 1. 유압 기초회로의 구성 2. 유압기호 3. 유압회로 해석 |
|||
4. 궤도장비 유압장치 | 1. 전차 유압장치의 구성 및 회로 2. 자주포 유압장치의 구성 및 회로 3. 장갑차 유압장치의 구성 및 회로 |
|||
4. 안전관리 | 1. 산업안전일반 | 1. 안전기준 및 재해 2. 안전보건표지 |
||
2. 기계 및 공구에 대한 안전 | 1. 기계 및 기기 취급 2. 전동 및 공기공구 3. 수공구 |
3. 실기개요
직무 분야 |
기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자격 종목 |
궤도장비정비기능사 | 적용 기간 |
2020. 1. 1 ~ 2024. 12. 31 | ||
○직무내용 : 궤도장비(전차, 장갑차, 자주포)에 관한 기술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공구 및 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유압장치, 동력장치,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 부위를 진단하고 규정된 검사 및 정비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수행준거 : 1. 전차의 구조 기능을 이해하고 검사정비를 할 수 있다. 2. 자주포의 구조 기능을 이해하고 검사정비를 할 수 있다. 3. 장갑차의 구조 기능을 이해하고 검사정비를 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작업형 | 시험시간 | 5시간 정도 |
4. 실기과목 및 세부항목
실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궤도장비 정비작업 |
1. 엔진 | 1. 파워팩 제거 설치하기 | 1 작업 전 위험 요소를 검토할 수 있다. 2 인원, 공구, 시설을 확인 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3 규정에 맞는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정확히 실시할 수 있다. 4 기술교범에 준해서 순서에 맞게 실시할 수 있다. 5 제거 설치 간 포탑 전동 조작을 금지할 수 있다. 6 파워팩 무게와 크레인의 인양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
2.. 외부시동작업하기 | 1 외부시동 케이블을 정확히 연결하여 시동할 수 있다. 2 각 장치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
||
3. 압축 압력 측정하기 | 1. K1, K-200의 규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2. 압축압력의 측정시기 및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압축압력이 규정보다 높거나 낮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
4. 시동 전동기 점검․교환하기 | 1. 배선의 연결 상태 및 축전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시동전동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
5. 공회전 속도 점검․조정하기 | 1. K-1(850-890rpm), K-55(600-650rpm), K-200(500-550rpm)의 규정값을 확인하고 규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2. 공회전 속도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3. 온간 상태에서 공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
||
6. 전차 엔진 송풍기 점검․ 교환하기 | 1. 600rpm에서 작동하고 100rpm이하에서 정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2. 주 전원을 ON한 상태에서 조종수 조종판의 스위치, EMS의 시험 스위치를 작동하여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엔진 송풍기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
2. 변속기 | 1. 오일 여과기 교환하기 | 1. 전 후진 변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오일 여과기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
2. 장갑차 축이음 결합체 점검․교환하기 | 1. 링크의 교환시 6개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다. 2. 링크 무게 및 볼트 무게 측정시 최대 최소치가 2g 이내인지 확인 할 수 있다 |
||
3. 장갑차 원심 클러치 점검․교환하기 | 1. 마모 게이지로 색깔에 따른 마모량으로 교환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 ||
3. 차체 | 1. 기동륜 점검․교환하기 | 1. 육안 검사 또는 게이지 검사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
2. 보기륜, 보기암 점검․교환하기 | 1. 고무의 손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리프터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후 차량을 전방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3. 보기륜 고정 부분의 장착부 구멍을 확인할 수 있다. |
||
3. 종감속기 오일 점검․교환하기 | 1. 오일의 변질, 수분 함유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오일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고 오일 량을 확인할 수 있다. 3. 점검구를 개방하여 흘러 내리면 정상의 양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
||
4. 궤도 이단 연결하기 | 1. 콘넥타와 중앙 가이드를 규정 우력으로 조일 수 있다. 2. 장도를 최대한 느슨하게 한 후 중앙 궤도를 이단할 수 있다. 3. 궤도 연결시 궤도 고정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
||
5. 보기륜 허브 점검․교환하기 | 1. 구리스 및 오일의 누유, 주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오일 씰및 베어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주유 및 배유 플러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
6. 궤도 링크, 패드 점검․교환하기 | 1. 링크 핀 부싱의 마모를 확인할 수 있다. 2. 콘넥타의 외관을 확인할 수 있다. 3. 패드의 마모를 측정할 수 있다. |
||
7. 토션바 점검․교환하기 | 1. 측면의 화살표 및 숫자로 좌우측을 확인할 수 있다. 2. 지렛대를 이용 보기암을 들 수 있다. |
||
8. 전차 유기압 현수장치 오일․질소 점검하기 | 1. 압력제거 후 질소 점검 확인할 수 있다. 2. 질소에 유압유가 섞여 나오면 유기압 현수 장치를 교환할 수 있다. |
||
9. 전차 펌프 구동기 오일 점검․보충하기 | 1. 규정된 오일을 준비할 수 있다. 2. 균열 파손 누유를 확인할 수 있다. 3. 9/16 점검구 볼트를 풀어서 한방울씩 떨어지는 지를 관찰할 수 있다. |
||
10. 장갑차, 자주포 장도 조절기 교환하기 | 1. 구리스 펌프를 이용하여 충유, 배출을 통하여 장도 조절기를 점검할 수 있다. 2. 현수 장치에 설치된 장도 조절기를 제거할 수 있다. |
||
4. 포탑 | 1. 전차포탑 회로망상자 교환하기 | 1. 포탑 회로망 상자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회로 차단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배선 콘넥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7/16 복스로 접지선을 제거한 후 9/16 복스로 고정 볼트 너트를 풀어서 포탑 회로망 상자를 제거할 수 있다. |
|
2. 전차의 고저선회 서보의 여과기 교환하기 | 1. 외관상 차동 압력 지시기와 튀어 나온지 확인할 수 있다. 2. 7/16 볼트를 풀고 여과기를 제거할 수 있다. |
||
3. 통풍모타 점검․교환하기 | 1. 통풍 모타의 모타 부분의 고정 볼트를 풀어서 제거할 수 있다. |
||
4. 전차 노벡점검․교환하기 | 1. 노벡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수동 모타의 유압 라인을 제거 하고 수동 모타를 제거할 수 있다. 3. 육모 볼트를 풀어서 노벡을 제거할 수 있다. |
||
5. 전기 | 1. 축전지 액 점검․비중측정하기 | 1. 축전지의 액 수준이 극판위 10-13mm인지 확인하고 부족시 증류수를 보충할 수 있다. 2. 비중계를 이용 비중을 측정할 수 있다.(1.280:완전충전, 1.250: 보충전, 1.080 완전 방전) 3. 통풍구의 막힘및 단자의 연결 청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
2. 전차의 축전지 직병렬 배선제거 결합하기 | 1. 축전지 액의 누출과 스파크(단락)에 주의할 수 있다. 2. 7/16, 9/16, 1/2,10mm등의 복스을 준비하고 실시할 수 있다. 3. 제거시 –선부터, 연결시 +선부터 결합할 수 있다. |
||
3. 등화장치 점검․수리하기 | 1. 각 스위치의 작동(좌1, 좌2, 우1, 우2)에 따른 점등되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
6. 유압 | 1. 장갑차 중간기어 상자 오일 점검․보충하기 | 1. 체결 및 연결부위의 누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 오일 수준이 점검창의 1/2수준에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시 보충할 수 있다.(4리터) |
|
2. 장갑차 유압 펌프 공기 검출하기 | 1. 유압 펌프의 기능 및 유압 회로를 설명할 수 있다. 2. 작동, 유량, 누유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3. 반드시 시동을 끈후 공기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
||
3. 장갑차 램프 실린더 교환하기 | 1. 안전을 위하여 램프를 열어 내린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2. 압력을 0으로 제거할 수 있다. 3. 램프 실린더를 제거할 수 있다. |
||
5. 전차 제동장치 공기 배출작업하기 | 1. 제동유 교환 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2. 유압 회로도를 준비하고 회로를 파악할 수 있다. 3. 주전원을 on하고 제동유 교환 유닛의 스위치를 켤 수 있다. 4. 제동 라인 S1, S2 비상해제, 주차, 정차의 공기 배출을 실시할 수 있다. |
||
6. 전차의 장도 다기관 점검․교환하기 | 1. 장도 조절이 원활한가를 점검할 수 있다. 2. 장도 실린더의 램 이물질, 긁힘, 변형, 방청을 확인할 수 있다. 3. 궤도 장도 실린더의 누유를 점검할 수 있다. 4. 블랙아웃 박스와 압력계를 이용하여 전기 유압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
||
7. 무장 및 사통 | 1. 전차 포탑(탄도 계산기) 자체 기능 점검하기 | 1. 주포 0도, 포탑 압력 1650psi인지 확인할 수 있다. 2. 비상, 정상 편류 점검 및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3. 계산기 조종판 스위치 ON 포수 전동손잡이 팜 스위치를 잡고 계산기 조종판 기능점검 키를 누를 수 있다. 4. 표시기의 pass와 fail 그리고 고장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5. 고장 번호 및 고장 장치를 확인 후 고장 배제를 실시할 수 있다. |
|
2. 주포 및 공축 사격 시험하기 | 1. 실시전 화기의 약실 안전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2. 사격 회로 시험기를 설치할 수 있다. 3. 포탑 회로망 상자의 회로 차단기가 ON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포수 조종판의 화기 선택 스위치가 주포 모드 되어있는지 확인, 탄피 방출 보호대를 장전위치로 할 수 있다. 5. 포수석 전동, 수동 펌프, 비상 격발기의 사격 확인 및 전차장석 사격을 확인할 수 있다. |
||
3. 사격 통제 전자 유닛 교환하기 | 1. 사격통제전자유닛에 연결된 배선을 제거할 수 있다. 2. 사격통제전자유닛을 고정시킨 9/16 볼트 및 쉴드선의 7/16 을 제거할 수 있다. 3. 쉴드 접지선을 반드시 설치할 수 있다. 4. 설치시 배선의 콘넥타 핀 휨 및 부러짐에 주의하여 작업할 수 있다. |
5. 공개문제
※ 출처: 큐넷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반응형
'직업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첨부] 궤도장비정비기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7.30 |
---|---|
[파일첨부]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7.29 |
[파일첨부] 공조냉동기계기술사 출제기준(필기, 면접) 알아보기 (0) | 2023.07.27 |
[파일첨부] 공조냉동기계기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7.26 |
[파일첨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