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입시/진로선택과목

2022학년도 부경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by 신박에듀 2021. 5.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대입에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2022학년도 입시에서는, 3단계 성취도로 평가되는 진로선택 과목이 학생부 위주(교과) 전형의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교과별로 반영 여부가 결정되는 일반 선택과목과는 달리 진로 선택 과목에 따라 반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대학별 반영 방법을 꼭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경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진로선택과목의 개념 및 특징

 

  진로선택과목은 학생의 진로에 따라 공통과목 및 일반선택 과목을 이수한 후 일반적으로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이수한 후  3학년부터 수강하는 과목으로서, 2019학년도 기준 1학년 학생부터 진로선택과목에 대해 표준편차와 석차등급이 제공되지 않고 성취도와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제시하는 형태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이 됩니다.

 

<학교생활기록부 진로선택과목 표기 방법> 

출처: 2020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교육부)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9등급 체계를 활용하던 방법이 진로선택과목에서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각 대학에서는  2022학년도 대입전형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을 잘 파악하고, 대입전형을 준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특히 진로선택과목은 학생부 종합전형보다 학생부 교과전형의 반영 방법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진로선택과목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원점수, 단위수, 성취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를 하지만, 학생부 교과전형은 정량적인 수치를 위주로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포스팅에서는 진로선택과목의 정량적 반영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부경대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

 

 1) 반영 방법

 - 학년별 교과성적 반영비율: 1~3학년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모두 3학년 1학기 성적까지 반영

 - 반영교과목

 - 진로선택과목 점수에 따른 등급을 산출하여 최종 교과성적등급에서 감하여 처리

 - 진로선택과목 점수 산출: ∑[{(이수단위/기준단위(5)}×진로선택과목 성취도 점수×과목별가중치]

 - 진로선택과목 성취도 점수: (A) 2점 (B) 1.5점 (C) 1점

 - 과목별 가중치

  ① (인문·사회계/예·체능계) 모든 반영교과목: 1

  ② (자연계) 기하, 과학Ⅱ(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1.5, 나머지 반영교과목: 1

 - 진로선택과목 등급

 

 2) 산출방법

 

최종반영교과등급 = 기준 교과성적등급(공통과목 및 일반선택과목) - 진로선택과목 등급

 

 → 부경대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은 다른 대학과는 차별화 된 반영방법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경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로선택과목 반영요소는 이수단위와 성취도이지만, 이를 점수화 시키는 과정에서 기준단위와 가중치를 적용하여 같은 성취수준이라도 이수단위 및 이수과목에 따라 반영점수가 달라지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부경대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하는 방법은 다음의 체계로 이루어집니다.

 

 ① 보통교과, 일반선택교과목을 등급산출:∑(과목별 등급 × 이수단위)/이수단위계)

 ② 진로선택과목 점수 산출: ∑[{(이수단위/기준단위(5)}×진로선택과목 성취도 점수×과목별가중치]

 ③ 도출된 진로선택과목 점수를 계열별(인문/자연) 점수표에 따라 진로선택과목 등급산출

 ④ 첫번째(①) 단계에서 산출한 등급에서 세번째(③) 단계에서 산출한 등급 빼기

 

  해당 과정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기존에 등급으로 산출되는 교과는 이수단위와 등급을 가중평균 하는 형태로 산출한 후 계산식에 의해 산출된 진로선택과목 등급을 빼서 결론적으로 등급이 상승하는 효과를 낳게 하는 방법입니다. 부경대 수시모집요강에서는 이를 예시를 통해 자세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 출처: 2022학년도 부경대학교 수시모집요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