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대입에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2022학년도 입시에서는, 3단계 성취도로 평가되는 진로선택 과목이 학생부 위주(교과) 전형의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교과별로 반영 여부가 결정되는 일반 선택과목과는 달리 진로 선택 과목에 따라 반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대학별 반영 방법을 꼭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숙명여자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진로선택과목의 개념 및 특징
진로선택과목은 학생의 진로에 따라 공통과목 및 일반선택 과목을 이수한 후 일반적으로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이수한 후 3학년부터 수강하는 과목으로서, 2019학년도 기준 1학년 학생부터 진로선택과목에 대해 표준편차와 석차등급이 제공되지 않고 성취도와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제시하는 형태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이 됩니다.
<학교생활기록부 진로선택과목 표기 방법>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9등급 체계를 활용하던 방법이 진로선택과목에서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각 대학에서는 2022학년도 대입전형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을 잘 파악하고, 대입전형을 준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특히 진로선택과목은 학생부 종합전형보다 학생부 교과전형의 반영 방법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진로선택과목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원점수, 단위수, 성취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를 하지만, 학생부 교과전형은 정량적인 수치를 위주로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포스팅에서는 진로선택과목의 정량적 반영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숙명여대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
1) 반영 방법
- 진로선택과목의 성취도를 등급으로 변환하여 상위 3개 과목 반영
※ 성취도별 등급: A(1등급), B(2등급), C(4등급)
- 반영교과
모집단위 | 학생부 반영교과 |
인문계, 자연계 | 국어, 수학, 외국어(영어), 사회(역사/도덕포함), 한국사, 과학 |
체육교육과, 미술대학 | 국어, 외국어(영어), 사회(역사/도덕포함), 한국사 |
2) 산출방법
숙명여대의 경우 등급으로 산출되는 교과 반영방법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숙명여대의 교과성적 활용 지표는 석차등급을 이수단위로 가중 평균한 환산석차등급을 적용하며, 해당 반영교과에 석차등급이 있는 전 과목 반영합니다. 여기서 진로선택과목은 석차등급이 나오지 않으므로, 성취도(A, B, C)에 따라 등급을 차등 적용하여(1, 2, 4) 상위 3개의 과목을 반영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진로선택과목도 기존의 성취도를 등급으로 변환하여, 모든 과목에서 등급이 나오도록 하여 석차등급을 이수단위로 가중 평균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자연스레 성취도(등급점수)와 이수단위가 높은 진로선택과목이 대입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위의 산출방법은 모든 반영교과의 등급을 반영교과 이수단위의 합으로 나눈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2등급 3과목, 3등급 2과목을 반영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됩니다.
진로선택과목 환산등급 = (2+2+2+3+3)/5 = 2.4
이처럼 진로선택과목은 등급으로 환산하여, 원래 등급이 표기되어 나오는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과 함께 환산등급이 산출되며, 최종 성적은 아래의 공식에 의해 산출됩니다.
학생부성적 = (11-환산석차등급) x 100
※ 출처: 2022학년도 숙명여자대학교 수시모집요강
'대학입시 > 진로선택과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고려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0) | 2021.03.21 |
---|---|
2022학년도 숭실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0) | 2021.03.20 |
2022학년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0) | 2021.03.18 |
2022학년도 상명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0) | 2021.03.17 |
2022학년도 경희대학교 진로선택과목 대입전형 반영방법 알아보기 (2)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