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신박에듀입니다. 생산자동화기능사는 자동화 생산설비의 운영을 위해 기계·기구적 메커니즘에 제어기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전자기술을 덧붙여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기계적 장치를 설계, 제작, 운영, 유지보수 업무 등의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생산자동화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필기개요
직무 분야 |
기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 설비·설치 |
자격 종목 |
생산자동화기능사 | 적용 기간 |
2020.1.1. ~ 2021.12.31 | |||||
○ 직무내용 : 생산자동화 설비의 운용을 위해 기계․기구적 메커니즘에 제어기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전자․정보기술을 융합하여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기계적 장치를 설계, 제작, 운용,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 ||||||||||||
필기검정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60 | 시험시간 | 1시간 |
2. 필기과목 및 세부항목
필 기 과목명 |
출 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기계제도, 메카트로닉스 일반 |
60 | 1. 기계가공법 | 1. 공작기계 및 절삭제 | 1. 공작기계의 종류 및 용도 2. 절삭제, 윤활제 및 절삭공구 재료 |
2. 기계가공 | 1. 선반의 개요 2. 밀링머신의 개요 3. 연삭기의 구조와 종류 4. 드릴링 머신의 종류와 용도 |
|||
3. 손다듬질 가공 및 측정 | 1. 손다듬질 가공 2. 길이의 측정 3. 각도의 측정 |
|||
2. 안전관리 | 1. 기계안전 작업 | 1. 기계가공과 관련되는 안전수칙 |
||
3. 기계제도 | 1. 제도통칙 등 | 1. 일반사항(양식, 척도, 문자 등) 2. 투상법 및 도형의 표시방법 3. 치수의 표시방법, 허용 한계치수 기입 등 4. 최대실체 공차방식, 기하공차 도시방식, 표면의결 도시방법, 가공기호 등 표시방법 등 |
||
2. 기계요소제도 | 1. 운동용기계요소(베어링, 기어, 풀리 등) 2. 체결용기계요소(나사, 리벳, 용접 등) 3. 제어용기계요소(스프링, 유공압기호 등) |
|||
3. 도면해독 | 1. 투상도면해독 2. 기계가공 도면, 비절삭가공도면 3. 기계조립도면, 재료기호 및 중량산출 |
|||
4. 메카트로닉스 일반 |
1. 공유압 일반 | 1. 공유압의 원리 및 특성 2. 공유압 발생장치와 부속 기기 3. 공유압 액추에이터 4. 공유압 제어밸브 5. 공유압 기본회로 |
||
2. 시퀀스 제어 | 1. 시퀀스 이해 및 기초 2. 시퀀스 제어용 기기 3. 시퀀스 제어용 기호 4. 시퀀스 제어회로의 고장진단 5. 유접점 시퀀스 제어 회로 6. 유접점 시퀀스 응용 회로 7. 무접점 시퀀스 제어 회로 8. 논리게이트와 조합논리회로 9. 플립플롭과 순차논리회로 10. 무접점 시퀀스 응용회로 |
|||
3. 자동화 일반 | 1. 자동제어의 기초 및 종류 2. 제어계의 구성 및 특성 3. 센서의 원리와 종류 및 특성 4. PLC의 구성과 특성 5. PLC 프로그래밍 6. 공장자동화의 개요 7. 자동화시스템의 구성 및 특성 8. 산업용 로봇의 종류 및 특성과 용도 |
3. 실기개요
직무 분야 |
기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 설비·설치 |
자격 종목 |
생산자동화기능사 | 적용 기간 |
2020.1.1. ~ 2021.12.31 | |||
○ 직무내용 : 생산자동화 설비의 운용을 위해 기계․기구적 메커니즘에 제어기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전자․정보기술을 융합하여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기계적 장치를 설계, 제작, 운용, 유지보수 직무 수행하는 직무이다. ○ 수행준거 : 1. 자동화시스템을 PLC 제어를 기반으로 운전할 수 있다. 2. 도면을 보고 기계부품을 이해할 수 있다. 3. 도면을 보고 분해할 수 있다. 4. 도면을 보고 조립할 수 있다. 5. 도면을 보고 배선할 수 있다. 6. 도면을 보고 배관 작업을 할 수 있다. 7. 자동화시스템을 시운전 할 수 있다. 8. 자동화시스템을 각종 CAD S/W를 사용하여 설계 및 도면 작업을 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작업형 | 시험시간 | 4시간 정도 |
4. 실기과목 및 세부항목
실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메카트로닉스 장치 운용작업 |
1. 조립도면 해독 |
1. 조립도 파악하기 | 1.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기계조립도면을 해독할 수 있다. 2. 기계 조립 도면에 따라 유공압 장치조립, 전기장치조립 도면을 구분하여 해독할 수 있다. 3. 기계조립의 수정 보완을 위하여 조립 도면의 설계 변경 내용과 개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2. 부품도 파악하기 | 1. 기계 부품 도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립도 내의 부품리스트를 작업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2. 기계 부품도면에 따라 각 기계부품의 치수 공차를 해석할 수 있다. 3. 기계 부품 도면에 따라 표면 거칠기와 열처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
||
3. 부품규격 확인하기 | 1.기계 도면에 따라 기계전용부품이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기계 도면에 따라 기계요소부품이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기계 도면에 따라 기계 설계자와 부품규격에 대한 특정 요구항목을 협의할 수 있다. |
||
2. 기계부품 조립 |
1. 기계부품조립 준비하기 | 1. 기계조립 일정에 맞추기 위하여 조립작업의 순서 및 절차를 파악하여 기계조립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수립된 기계 조립 계획에 따라 기계장치 조립에 필요한 공구와 기계장치, 소요부품의 수량을 확인하고 조립인원을 배치하고 준비할 수 있다. 3. 장소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조립공간을 확보하고 주변 정리정돈을 할 수 있다. |
|
2. 기계부품 조립하기 | 1. 정확한 기계조립을 위하여 수립된 기계조립계획에 따라 공정순서와 일정을 고려하여 기계장치 조립을 할 수 있다. 2. 기계조립 시 올바른 조립을 위하여 규격에 맞는 공구와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3. 기계조립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작업 안전 규정에 따라 기계조립을 할 수 있다. |
||
3. 기계부품조립 기능 확인하기 | 1. 정확히 조립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조립도면과 비교할 수 있다. 2. 조립된 기계장치의 이상발생 시 수정을 위하여 기계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수정하여 보완 할 수 있다. 3. 기계조립 장치의 정확한 구동을 위하여 측정하고 검사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
||
3. 유공압 장치조립 | 1. 유공압 회로 도면 파악하기 | 1. 유공압 회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공압 회로도의 부호를 해독할 수 있다. 2. 유공압 회로도에 따라 정확한 유공압 부품의 규격을 파악할 수 있다. 3. 유공압 회로도를 이용하여 세부 점검목록을 확인 후 정확한 고장 원인과 비정상 작동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
2. 유공압 장치 조립하기 | 1. 부품의 지정된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히 조립할 수 있다. 2. 유공압 장치를 조립하기 위하여 규격에 적합한 조립 공구와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3. 유공압 장치 조립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유공압 장치 조립 시 안전 사항을 준수할 수 있다. |
||
3. 유공압장치 기능 확인하기 | 1. 유공압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립된 유공압 장치를 검사하고 조립도와 비교할 수 있다. 2. 조립된 유공압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수정하여 조립할 수 있다. 3. 유공압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
||
4. 전기 전자 장치 조립 |
1. 전기전자 회로도 파악하기 | 1. 전기전자 배선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로도의 기호를 해독할 수 있다. 2. 전기전자 회로도에 따라 정확한 전기전자 부품의 규격을 파악할 수 있다. 3. 전기전자 회로도를 통하여 전기전자 기계의 동작 상태와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
|
2. 전기전자장치 선택하기 | 1. 작업표준서에 따라 정확한 전기전자 장치 부품을 지정된 위치를 파악하고 조립할 수 있다. 2. 전기전자 장치를 조립하기 위하여 규격에 적합한 조립 공구와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3. 전기전자 장치 조립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전기전자 장치 조립 시 안전 사항을 준수할 수 있다. |
||
3. 전기전자장치 기능 확인하기 | 1. 전기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립된 전기전자 장치를 측정하고 조립도와 비교할 수 있다. 2. 조립된 전기전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간섭과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수정하여 조립할 수 있다. 3. 전기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
||
5. 센서활용 기술 |
1. 센서 선정하기 | 1. 센서 선정을 위하여 측정 대상의 기구적, 전기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 등의 내용을 수집, 정리하여 관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 센서의 사용 목적과 범위를 만족할 수 있는 기능, 센서 입출력 신호 및 변환 방법 등을 고려하여 종류를 선정할 수 있다. 3. 선정된 센서의 응답속도, 정밀도, 감도를 토대로 센싱에 적합한 신호처리장치 사양을 정의할 수 있다. 4. 설정된 결과물을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5. 정해진 납기 및 요구사항의 충족을 위하여 주어진 기간 내에 센서와 관련된 부품의 수급 및 제작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2. 센서 회로 구성하기 | 1. 적합한 신호로 변환, 전송, 신호처리 그리고 출력하는 센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2. 센싱 시스템 구성요소간의 배선도를 작성할 수 있다. 3. 배선도 및 제품 사용설명서 등을 근거하여 센서와 관련된 부분의 전기적 배선을 직접 할 수 있다. 4. 기구도면과 센서의 설치방법 등을 바탕으로 센서를 원하는 장비에 설치 할 수 있다. |
||
3. 센서 신호받기 | 1. 센서 신호를 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어기에 설치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다. 2. 센서를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센싱에 필요한 변수를 설정하고 구동 시킬 수 있다. 3. 작성된 프로그램 혹은 전기적 회로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센싱 목적에 부합하는 출력 신호로 얻을 수 있다. 4. 시운전이 완료된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여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
||
4. 센서 관리하기 | 1. 센서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점검 사항을 준거하여 주기적 점검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2. 센서의 이상 발생시 상황 및 증상 별 보수작업을 수행하고,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수정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3. 원가절감 표준절차에 의거해 목표원가와 투자비를 검토하여 원가절감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
6. 모터제어 |
1. 제어방식 설계하기 | 1. 모터 선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구적, 전기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 등의 내용을 수집, 정리하여 관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을 파악하여, 제어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제어 방법과 모터의 종류를 선정할 수 있다. 3. 선정된 모터의 종류에 따라 표준화된 계산공식을 토대로 하여 모터제어 및 구동에 필요한 컨트롤러의 사양을 정의할 수 있다. 4. 설정된 결과물을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5. 정해진 납기 및 요구사항의 충족을 위하여 주어진 기간 내에 모터와 관련된 부품의 수급 및 제작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2. 제어회로 구성하기 | 1. 모터의 용량과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차단기, 개폐기, 보호기, 전선을 선정할 수 있다. 2. 모터의 종류에 따른 배선방법 및 구성 기기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배선도를 작성할 수 있다. 3. 모터의 직입기동 운전법과 감압기동 운전법의 종류를 파악하고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4. 모터 컨트롤러와 주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5. 모터의 사용목적, 용도에 맞춰 전기적, 기계적 인터록을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다. 6. 배선도 및 제품 사용설명서 등을 근거하여 모터와 관련된 부분의 전기적 배선을 할 수 있다. 7. 기구도면과 모터의 설치방법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구적 설치를 할 수 있다. |
||
3. 시험 운전하기 | 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컨트롤칩에 설치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다. 2.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에 필요한 변수를 설정하여 모터를 구동 시킬 수 있다. 3. 모터의 고·저압 결선을 파악하고 배선할 수 있으며, 보호기를 설정할 수 있다. 4. 작성된 프로그램 혹은 전기적 회로에 의해 모터를 제어목적에 충족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5. 시운전이 완료된 모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여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
||
4. 유지 보수하기 | 1. 모터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점검 사항을 준거하여 주기적 점검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2. 모터의 이상여부를 판단 계측할 수 있는 기기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측정 판별할 수 있다. 3. 모터의 이상 발생시 상황 및 증상별 보수작업을 수행하고,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수정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4. 원가절감 표준절차에 의거해 목표원가와 투자비를 검토하여 원가절감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
7. 유공압 제어 |
1. 제어방식 설계하기 | 1. 동력의 선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기구적, 전기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 등의 내용을 수집·정리하여 관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을 파악하여, 제어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제어 방법을 판단할 수 있다. 3. 선정된 매체의 종류에 따라 표준화된 계산공식을 토대로 실린더와 밸브 그리고 이들의 제어 및 구동에 필요한 컨트롤러의 사양을 정의할 수 있다. 4. 설정된 결과물을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5. 정해진 납기 및 요구사항의 충족을 위하여 주어진 기간 내에 유·공압 제어에 관련된 부품의 수급 및 제작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2. 제어회로 구성하기 | 1 일의 크기, 속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유공압기기의 선정과 회로를 구성 파악할 수 있다. 2 부품의 종류에 따른 배선방법 및 구성 기기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배선도를 작성할 수 있다. 3 유공압 제어기와 주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4 부품의 특성에 따른 설치방법을 파악하고 요구되는 조건 및 성능을 충족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5 기계적 도면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의 기구적 설치를 할 수 있다. 6 배선도를 근거하여 액추에이터와 관련된 부분의 기본적 전기 배선 및 배관을 할 수 있다. |
||
3. 시험 운전하기 | 1 유공압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2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논리적 프로그램을 주어진 조건에 따라 작성할 수 있다. 3 작성한 프로그램 혹은 전기적 회로를 이용하여 제어목표를 만족할 수 있는 동작을 시킬 수 있다. 4 액추에이터의 출력조정, 속도조정 등의 조작을 부하의 운동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5 시운전이 완료된 후 기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여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
||
4. 유지 보수하기 | 1 유지 보수에 필요한 점검 사항을 준거하여 주기적인 점검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2 이상 발생시 상황 및 증상 별 보수작업을 수행하여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수정하여 정상 동작이 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3 원가절감 표준절차에 의거해 목표원가와 투자비를 검토하여 원가절감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4 기기의 기능 향상과 성능 개선을 위하여 이에 따른 개선 필요 사항 등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여 관련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
||
8. 제어프로그램 구조 설계 |
1. 기계시스템 제어 대상 기능 파악하기 | 1. 제어대상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 사양을 파악하여 제어 사양서를 작성할 수 있다. 2. 제어대상의 도면과 제어 프로그램 매뉴얼에 의해 제어대상과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3. 제어대상의 기능 사양서를 바탕으로 하여 제어대상이 요구하는 기능 중, 프로그램구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
2. 기계시스템 프로그램 개념 설계 준비하기 | 1. 제어 사양서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2. 장비 데이터 구조도와 제어 사양서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구조 설계(Architecture Design)를 할 수 있다. 3. 제어 사양서와 데이터 구조도에 의해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한 경우 구성할 수 있다. 4. 제어 장비 도면과 제어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매뉴얼에 의해 제어기와 제어대상과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따른 처리 방식을 선정할 수 있다. |
||
3. 기계시스템 프로그램 모듈별 기능정의하기 | 1. 장비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 설계도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모듈 별 구조 도표를 작성할 수 있다. 2. 프로그램 모듈별 구조 도표와 개념 설계도를 바탕으로 하여 컴포넌트 통합 구조도를 작성할 수 있다. 3. 모듈별 구조 도표와 컴포넌트 통합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컴포넌트별 함수 사양(Function Spec.), 순서도를 작성할 수 있다. |
||
9. PLC제어 기본 모듈 프로그램 개발 |
1. PLC 기본 프로그래밍 준비하기 | 1. 작업조건에 적합한 PLC 프로그래밍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2. PLC 제조사의 사용자 매뉴얼에 의해 PLC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매뉴얼을 준비할 수 있다. 3. PLC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4. PLC 프로그래밍 작업에 필요한 설명서와 관련 제어기 사용 설명서를 확인 할 수 있다. |
|
2. PLC 기본 프로그래밍 하기 | 1. 제어 대상 기계의 작동 순서에 따라 작업내용의 공정도를 작성할 수 있다. 2. 입력기기와 출력기기의 종류와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3. 내부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데이터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 4. 입출력 배선도를 작성할 수 있다. 5.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PLC 프로그램 작성 규칙에 따라 에러 없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6. PLC 명령어 매뉴얼에 의해 각 모듈의 인터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
||
3. 시뮬레이션하기 | 1. 입출력 할당표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입출력번지 지정을 확인할 수 있다. 2. 시퀀스와 래더 규칙에 의해 작성된 PLC 프로그램의 에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3. PLC 프로그래밍 작업완료 후 시뮬레이션에 의해 PLC 작동유무를 검사하고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
||
4. 프로그램 수정 보완하기 | 1. 프로그램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프로그램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재 작성할 수 있다. 2. 입출력 할당표에 의해 수정 보완시 입출력번지를 비교 확인할 수 있다. 3. PLC 프로그램 이력표에 의해 보완 및 개선 이력을 작성 관리할 수 있다. |
||
10. PLC 제어 프로그램 테스트 |
1. 프로그램 설치하기 | 1. 장비 운영 매뉴얼에 의해 PLC 제어에 필요한 설치 프로그램 및 설치 설명서를 확인할 수 있다. 2. 설치 프로그램 작성도구에 의해 프로그램의 설치방법 편의성을 검토할 수 있다. 3. 프로그램 설치 절차서에 따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
|
2. 기능테스트 하기 | 1. 설치 사양서에 의해 설치 후 프로그램이 정상 작동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2. PLC 하드웨어 구성에서 입출력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 PLC 프로그램에서 PLC 하드웨어 작동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4.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시 원인을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5. 필요공구 리스트에 의해 기능 테스트에 필요한 공구를 확인할 수 있다. 6. 이상발생시 트러블슈팅 절차에 따라 이상원인 제거와 복구를 실시할 수 있고 이를 보고서로 정리할 수 있다. 7. 운용 검토표 및 매뉴얼에 따라 해당설비의 설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
3. 테스트결과 정리하기 | 1.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파라미터 리스트와 성능 체크시트를 작성할 수 있다. 2. 최적화에 적용된 파라미터를 통해 해당 기계장비 및 설비를 설정할 수 있다. 3. 설비 운용 검토표에 의해 최종적으로 시험성적서를 작성하여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검사 할 수 있다. 4. 유지보수에 필요한 PLC관련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고 응급시 조치가능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5. 일상점검표와 정기점검표를 작성하고 이를 표준화 할 수 있다. |
||
11. HMI 프로그램 개발 |
1. HMI기능 정의하기 | 1. HMI 장치의 구동방식을 파악하고 필요한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2. HMI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기계장비의 종류와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HMI 장치를 활용하여 기계를 쉽게 조작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4. SCADA 시스템의 기능을 원활히 활용하여 HMI 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 5. 프로그램 설계서에 기능정의 내용을 반영하여 작성할 수 있다. |
|
2. HMI제어 화면 설계하기 | 1. 인체공학적인 편의성을 고려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2. 기계장비에 명령을 전달하고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절차를 구성할 수 있다. 3. 기계장비의 작동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4. 사용자의 편의성과 기계장비의 성능을 고려하여 제어 조작화면을 설계할 수 있다. 5. 프로그램 설계서에 제어화면 설계내용을 반영하여 작성할 수 있다. |
||
12. 2D 도면 작성 |
1. 작업환경 준비하기 | 1. 보조 명령어를 이용하여 CAD 프로그램을 사용자 환경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2. 도면작도에 필요한 부가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3. 도면영역의 크기를 설정하고 작도를 제한할 수 있다. 4. 선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도면층을 설정할 수 있다. 5. 작업 환경에 적합한 템플릿을 제작하여 도면의 형식을 균일화 시킬 수 있다. |
|
2. 도면 작성하기 |
1. 정확한 치수로 작도하기 위하여 좌표계를 활용할 수 있다. 2. 도면요소를 선택하여 작도, 지우기,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3. 도형작도 명령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도면요소들을 작도 및 수정할 수 있다. 4. 도면요소를 복사, 이동, 스케일, 다중 배열 등 편집하고 변환할 수 있다. 5. 선분을 분할하고 도면요소를 조회하여 활용할 수 있다. 6. 자주 사용되는 도면요소를 블록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7. 관련 산업표준을 준수하여 도면을 작도할 수 있다. 8. 요구되는 형상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를 2D CAD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하여 작도할 수 있다. 9. 요구되는 형상과 비교·검토하여 오류를 확인하고, 발견되는 오류를 즉시 수정할 수 있다. |
||
3. 치수 및 공차 표현하기 | 1. KS 및 ISO 규격 또는 사내 규정에 맞는 도면 유형을 설정하여 도면요소의 투상 및 치수 등 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2. 생성된 관련 정보를 수정하고 편집할 수 있다. 3. 대상물의 치수에 관련된 가공상에 적합한 공차를 표현할 수 있다. 4. 대상물의 모양, 자세, 위치 및 흔들림에 관한 기하공차를 표현할 수 있다. 5. 대상물의 표면조도를 고려하여 다듬질공차 기호를 표현할 수 있다. |
||
4. 도면 출력 및 데이터 관리하기 | 1. 요구되는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2. 프린터, 플로터 등 인쇄 장치의 설치와 출력 도면 영역설정으로 실척 및 축(배)척으로 출력 할 수 있다. 3. CAD 데이터 형식에 대하여 각각의 용도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변환할 수 있다. 4. 작업된 도면의 용도 및 활용성을 파악하고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
||
13. 3D 형상 모델링 |
1. 3D형상모델링 작업 준비하기 | 1. 보조명령어를 이용하여 3D CAD 프로그램을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 2. 3D형상모델링에 필요한 부가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3. 작업 환경에 적합한 템플릿을 제작하여 도면의 형식을 균일화 시킬 수 있다. 4. 형상 및 선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도면층을 설정할 수 있다. |
|
2. 3D형상모델링 작업하기 | 1. KS 및 ISO 등 관련 규격을 준수하여 형상을 모델링할 수 있다. 2. 스케치 도구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형상화할 수 있다. 3. 디자인에 치수를 기입하여 치수에 맞게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4. 기하학적 형상을 구속하여 원하는 형상을 유지시키거나 선택되는 요소에 다양한 구속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5. 특징형상 설계를 이용하여 요구되어지는 3D형상모델링을 완성할 수 있다. 6. 연관복사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편집하고 변환할 수 있다. 7. 요구되어지는 형상과 비교, 검토하여 오류를 확인하고 발견되는 오류를 즉시 수정할 수 있다. |
||
3. 3D형상모델링 검토하기 | 1. 3D형상모델링의 관련 정보를 도출하고 수정할 수 있다. 2. 각각의 단품으로 조립형상 제작 시 적절한 조립 구속조건을 사용하여 조립품을 생성 할 수 있다. 3. 조립품의 간섭 및 조립여부를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다. 4. 동기화 기능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하고 수정할 수 있다. |
||
4. 3D형상모델링 출력 및 데이터 관리하기 | 1. KS 및 ISO 등 국내외 규격 또는 사내 규정에 맞는 2D 도면 유형을 설정하여 투상 및 치수 등 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2. 도면에 대상물의 치수에 관련된 가공 공차를 표현할 수 있다. 3. 대상물의 모양, 자세, 위치 및 흔들림에 관한 기하공차를 도면에 표현할 수 있다. 4. 대상물의 표면조도를 고려하여 다듬질공차 기호를 표현할 수 있다. 5. 요구되는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6. 프린터, 플로터 등 인쇄 장치를 설치하고 출력 도면 영역을 설정하여 실척 및 축(배)척으로 출력할 수 있다. 7. 3D CAD 데이터 형식에 대한 각각의 용도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변환할 수 있다. 8. 작업된 도면의 용도 및 활용성을 파악하고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
||
14. 도면해독 |
1. 도면분석하기 | 1. 작업 요구사항에 적합한 설계 자료를 수집하고 도면을 준비할 수 있다. 2. 설계사양서 및 관련 도면을 파악하여 전체기능과 작동원리를 검토할 수 있다. 3. 해당도면의 개정, 설계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4. 조립도 및 부품도에서 표준부품을 파악하여 설계 규격 및 설계 공식을 준비할 수 있다. |
|
2. 요소부품 투상하기 | 1. KS 및 ISO 제도통칙에서 투상도법을 확인할 수 있다. 2. 조립도 및 부품도를 파악하여 각각의 요소부품의 품명과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 3. 조립도 및 부품도를 파악하여 2D 부품도에서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4. 도면에서 표준부품과 호환성을 파악하여 조립부분의 형상을 검토할 수 있다. |
||
3. 주요치수 및 공차 검토하기 | 1. KS 및 ISO 제도통칙에서 치수기입방법 및 표준공차를 확인할 수 있다. 2. 조립도에서 요소부품들의 조립관계를 파악하고 주요 치수 및 공차를 검토할 수 있다. 3. 요소부품의 가공정밀도를 파악하고 표면조도 및 기하공차를 검토할 수 있다. 4. 도면에서 요소부품과 표준부품의 호환성을 파악하고 표준부품의 편람을 참조하여 공차를 결정할 수 있다. |
||
4. 도면해독 검토하기 | 1. 조립도에서 요소부품의 주요 기능을 파악하고 특이사항을 정의하여 설계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2. 조립도 및 부품도에서 품명, 설계계산, 제작을 고려하여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3. 도면을 파악하여 개략적인 설계시간을 산정하고 예상되는 작업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4. 요소부품의 가공정밀도 및 열처리를 고려하여 작업설비 및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
15. 요소공차 검토 |
1. 요구기능 파악하기 | 1. 요구되는 기계요소부품의 종류와 기능,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요소부품에 요구되는 정밀도를 확인하여 공차를 파악할 수 있다. 3. 적용된 기능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
|
2. 치수공차 검토하기 | 1. 요소부품에 요구되는 치수공차를 적용할 수 있다. 2. 기능 및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치수공차를 적용할 수 있다. 3. 적용된 치수공차가 요구되는 기능 및 성능에 적합한지 검토할 수 있다. |
||
3. 표면거칠기 검토하기 | 1. 요소부품의 표면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다. 2. 기능 및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표면 조도를 적용할 수 있다. 3. 적용된 표면 조도가 요구되는 기능 및 성능에 적합한지 검토 할 수 있다. |
||
4. 기하공차 검토하기 | 1. 요소부품에 기하공차를 적용할 수 있다. 2. 기능 및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필요한 기하공차를 적용할 수 있다. 3. 적용된 기하공차가 요구되는 기능 및 성능에 적합한지 검토할 수 있다. |
||
16. 요소부품 재질 설정 |
1. 요소부품 재료 파악하기 | 1. 요소부품별 요구기능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재료 별로 재질의 종류를 검토할 수 있다. 3. 재료조달의 난이도에 따른 재료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
|
2. 최적요소부품 재질 선정하기 | 1. 용도에 따른 재료의 종류 및 재질을 파악할 수 있다. 2. 설계사양서의 요구사항에 관한 재질 적합성을 검토할 수 있다. 3. 설계계산서와의 적합성을 검토할 수 있다. 4. 요구사항에 맞는 요소부품의 재질을 선정할 수 있다. |
||
3. 요소부품 공정 검토하기 | 1. 요소부품의 가공공정을 검토할 수 있다. 2. 재료조달의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3. 요소부품 재료의 제조공정을 검토할 수 있다. |
||
4. 열처리 방법 결정하기 | 1.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열처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2. 요구되는 강도와 열처리 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할 수 있다. 3. 요소부품의 열처리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5. 공개문제
※ 출처: 큐넷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반응형
'직업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첨부] 설비보전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8.07 |
---|---|
[파일첨부]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8.06 |
[파일첨부] 산업기계설비기술사 출제기준(필기, 면접) 알아보기 (0) | 2023.08.04 |
[파일첨부]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8.03 |
[파일첨부] 농업기계기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