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신박에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콘크리트산업기사의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콘크리트기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필기개요
| 직무 분야 |
건설 | 중직무 분야 | 토목 | 자격 종목 |
콘크리트기사 | 적용 기간 |
2022.1.1. ~ 2024.12.31 | ||||
| ○직무내용 : 콘크리트에 대한 이해와 실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콘크리트의 제조, 시공, 시험, 검사, 품질관리와 콘크리트 제품, 콘크리트 구조, 진단 및 평가, 유지관리 등의 업무를 합리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내구성 및 안전성의 확보를 도모하는데 필요한 직무이다. | |||||||||||
| 필기검정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80 | 시험시간 | 2시간 | ||||||
2. 필기과목 및 세부항목
| 필 기 과목명 |
출 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
20 | 1. 콘크리트용 재료 |
1. 시멘트 | 1. 시멘트의 일반 2. 시멘트의 제조 3. 시멘트의 조성 광물 4. 시멘트의 종류 |
| 2. 물 | 1. 혼합수 일반 2. 혼합수의 품질기준 |
|||
| 3. 골재 | 1. 골재 일반 2. 잔골재 3. 굵은골재 4. 기타골재 |
|||
| 4. 혼화재료 | 1. 혼화재료 일반 2. 혼화재의 종류 및 특성 3. 혼화제의 종류 및 특성 |
|||
| 5. 보강재료 | 1. 보강재료 일반 2. 강재 3. 섬유보강재 4. 기타 보강재 |
|||
| 2. 재료시험 | 1. 시멘트 관련시험 |
1. 시멘트 비중시험 2. 시멘트 분말도 시험 3. 시멘트 응결시험 4. 시멘트 안정도 시험 5.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시험 |
||
| 2. 골재 관련시험 | 1. 골재 체가름 시험 2.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3. 골재의 단위용적 질량 4.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5.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시험 6.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 7. 골재의 내구성 |
|||
| 3. 혼화재료 관련시험 | 1. 혼화재 관련 시험 2. 혼화제 관련 시험 |
|||
| 4. 기타 재료시험 | 1. 금속재료의 인장시험 2. 금속재료의 굽힘시험 3. 섬유보강재 시험 |
|||
| 3. 콘크리트의 배합 |
1. 배합설계의 기본원리 |
1. 배합의 일반사항 2. 설계기준압축강도 |
||
| 2.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KCS 14 20 00)에 의한 배합 설계 방법 |
1. 실험값의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 2. 배합강도의 결정 3. 물-결합재비의 결정 4. 배합의 보정 5. 단위량의 계산 6.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 |
| 필 기 과목명 |
출 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콘크리트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
20 | 1. 콘크리트의 제조 |
1. 콘크리트 제조의 일반사항 |
1. 제조설비 및 장비 2. 재료의 저장 및 관리 3. 재료의 계량 4. 비비기 |
| 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 |
1. 레미콘의 정의 2. 레미콘 재료 3. 레미콘의 특성 및 종류 4. 레미콘의 제조 5. 레미콘의 품질검사 6. 기타 레미콘에 관한 사항 |
|||
| 2. 콘크리트 시험 | 1. 굳지 않은 콘크리트 관련 시험 |
1. 시료채취 방법 2. 워커빌리티시험 3. 공기량 시험 4. 염화물 함유량 시험 5. 블리딩 시험 6. 응결시험 |
||
| 2. 굳은 콘크리트 관련 시험 |
1.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시험 2. 인장강도 시험 3. 휨강도 시험 4. 휨인성 시험 5. 길이변화 시험 6. 비파괴 시험 |
|||
| 3. 내구성 관련시험 | 1. 동결융해 시험 2. 염화물분석 시험 3. 알칼리 골재반응 4. 탄산화 시험 |
|||
| 3.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
1. 콘크리트공사에서의 품질관리・검사 목적 및 원칙 |
1. 품질관리 2. 품질검사 3. 목적 및 원칙 |
||
| 2. 통계적 방법의 기초 |
1. 통계적 품질관리의 정의 2. 데이터의 정리방법 3. 측정치의 수량적 특성 4. 각종 분포이론 및 응용 |
|||
| 3. 콘크리트 공사에서의 품질관리 및 검사의 실제 | 1. 품질관리 방법 2. KS 및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KCS 14 20 00)의 품질관리 및 검사기준 |
|||
| 4. 콘크리트의 성질 | 1. 굳지 않은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작업성 3.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 4. 재료분리 5. 콘크리트의 응결 6.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균열 |
||
| 2. 굳은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강도특성 3. 콘크리트의 체적변화 4. 균열 5. 내구성 6. 기타 성질 |
|||
| 콘크리트의 시공 | 20 | 1. 시공전 검토 및 확인 | 1. 시공 전 준비 |
1. 시공상세도 2. 거푸집 설치 계획 3. 철근가공 조립계획 4. 콘크리트 타설계획 |
| 2. 일반 콘크리트 | 1. 운반, 타설 및 양생 | 1. 콘크리트의 운반 2.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지기 3. 콘크리트의 양생 |
||
| 2. 이음, 표면마무리 | 1. 콘크리트의 이음 2. 콘크리트의 표면 마무리 |
|||
| 3. 거푸집 및 동바리 | 1. 거푸집 2. 동바리 |
|||
| 2. 특수 콘크리트 | 1. 한중 및 서중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2. 매스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3. 유동화 및 고유동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4. 해양 및 수밀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5. 수중 및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6. 경량골재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7. 고강도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8. 숏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9. 섬유보강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10.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11. 팽창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12. 댐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13. 포장콘크리트 |
1. 일반사항 2. 재료/배합/시공 |
|||
| 3. 콘크리트 제품 | 1. 콘크리트 관련제품 |
1. 일반사항 2. 공장제품 3. 재료 및 배합 4. 성형 및 양생 5. 조립 및 접합 6. 공장제품의 시험 및 검사 |
||
|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
20 | 1. 철근 콘크리트 | 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개념 | 1. 일반 사항 2. 구조물의 설계법 3. 사용성 및 내구성 4. 철근의 정착과 이음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해석 및 설계 | 1. 보의 휨해석 및 설계 2. 보의 전단해석 및 설계 3. 기둥의 해석 및 설계 4. 슬래브의 해석 및 설계 5. 옹벽의 해석 및 설계 6. 확대기초의 해석 및 설계 |
|||
| 2. 열화조사 및 진단 |
1. 외관조사 및 강도 평가 |
1. 외관조사 2. 콘크리트의 강도 평가 |
||
| 2. 열화원인 및 성능평가 |
1. 탄산화 2. 염해 3. 알칼리골재 반응 4. 동해 5. 화학적 침식 6. 피로 7. 비파괴시험 |
|||
| 3. 콘크리트 균열 | 1. 균열의 원인 및 종류 2. 균열의 평가 및 대책 |
|||
| 4. 철근배근조사 및 부식평가 | 1. 철근배근조사 2. 철근부식평가 |
|||
| 5. 내하력 평가 |
1. 일반사항 2. 재하시험 및 평가 |
|||
| 3. 보수․보강 | 1. 보수・보강 종류 및 방법 |
1. 일반사항 2. 보수 및 보강재료 3. 보수 및 보강공사 |
||
| 2. 보수・보강 검사 및 평가 | 1. 검사 및 평가기준 2. 검사 및 평가방법 |

3. 실기개요
| 직무 분야 | 건설 | 중직무분야 | 토목 | 자격 종목 | 콘크리트기사 | 적용 기간 |
2022.1.1. ~ 2024.12.31 |
| ○직무내용 : 콘크리트에 대한 이해와 실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콘크리트의 제조, 시공, 시험, 검사, 품질관리와 콘크리트 제품, 콘크리트 구조, 진단 및 평가, 유지관리 등의 업무를 합리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내구성 및 안전성의 확보를 도모하는데 필요한 직무이다. ○수행준거 : 1. 콘크리트 재료 및 각종콘크리트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재료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판정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제조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배합설계 및 현장배합을 실시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시공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일반 및 특수콘크리트의 시공과 품질관리를 할 수 있다. 4. 콘크리트 유지관리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열화조사 및 비파괴시험을 실시하고 콘크리트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5. 콘크리트 구조설계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구조설계 및 해석을 할 수 있다. |
|||||||
| 실기검정방법 | 복합형 | 시험시간 | 필답형 : 2시간, 작업형 : 4시간정도 | ||||
4. 실기과목 및 세부항목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콘크리트 일반 작업 | 1. 콘크리트 일반 | 1. 콘크리트의 재료 시험하기 |
1. 시멘트 관련시험을 할 수 있다. 2. 골재 관련시험을 할 수 있다. 3. 혼화재료 관련시험을 할 수 있다. 4. 기타 재료시험을 할 수 있다. |
| 2. 배합 및 제조하기 | 1. 콘크리트 배합을 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제조의 일반 사항을 이해할 수 있다. 3. 레디믹스트콘크리트의 제조를 할 수 있다. |
||
| 3. 각종 콘크리트 시공하기 | 1.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을 할 수 있다. 2. 특수 콘크리트의 시공을 할 수 있다. 3. 공장제품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
||
| 4.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하기 |
1. 기초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2. 통계량의 정의 및 계산을 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할 수 있다. 4. 콘크리트 품질검사를 할 수 있다. |
||
| 5. 콘크리트 유지 관리하기 |
1. 콘크리트의 열화 및 손상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진단을 할 수 있다. 3. 비파괴시험을 할 수 있다. 4. 내하력 평가를 할 수 있다. 5. 보수공법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6. 보강공법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
||
| 6. 콘크리트 구조 설계하기 |
1. 철근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개요를 알고 적용할 수 있다. 2. 철근 및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구조의 해석 및 설계를 할 수 있다. 3. 구조부재(슬래브, 보, 기둥. 벽체, 기초 등)의 적정크기 및 철근을 산정하고 배치할 수 있다. 4.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토 할 수 있다. |
||
| 2. 콘크리트 시험 | 1. 굳지 않은 콘크리트 시험하기 |
1. 시료채취 방법을 알고 할 수 있다. 2. 워커빌리티시험을 할 수 있다. 3. 공기량 시험을 할 수 있다. 4. 염화물 함유량 시험을 할 수 있다. 5. 블리딩 시험을 할 수 있다. 6. 응결시험을 할 수 있다. 7. 기타 굳지 않은 콘크리트 관련 시험을 할 수 있다. |
|
| 2. 굳은 콘크리트 시험하기 |
1.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시험을 할 수 있다. 2. 인장강도 시험을 할 수 있다 3. 휨강도 시험을 할 수 있다. 4. 길이변화 시험을 할 수 있다. 5. 비파괴 시험을 할 수 있다. 6. 기타 굳은 콘크리트 관련 시험을 할 수 있다. |
||
| 3. 내구성 관련 시험하기 | 1. 동결융해 시험을 할 수 있다. 2. 염화물분석 시험을 할 수 있다. 3. 알칼리 골재반응 시험을 할 수 있다. 4. 탄산화 시험을 할 수 있다. 5. 기타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다. |
5. 공개문제
[공개문제] 콘크리트기사.pdf
0.08MB
※ 출처: 큐넷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반응형
'직업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파일첨부] 토목산업기사 출제기준(필기 및 실기) 알아보기 (0) | 2023.05.22 |
|---|---|
| [파일첨부] 토목구조기술사 출제기준(필기, 면접) 알아보기 (0) | 2023.05.21 |
| [파일첨부] 콘크리트산업기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5.19 |
| [파일첨부] 콘크리트기능사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 알아보기 (0) | 2023.05.18 |
| [파일첨부]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술사 출제기준(필기, 실기) 알아보기 (0) | 2023.05.17 |